서울 목동, 오피스건물 공실률 23%..종로도 21.4%

조민규 2018. 10. 15. 00:3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울 주요지역 오피스 빌딩 5군데 중 2곳은 텅텅 비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규모 상가의 경우는 젊은 세대 층에게 핫한 지역인 홍대·합정이 공실률이 17.2%에 달했고, 공덕역이 12.8%, 논현역이 9.2%, 압구정역이 6.9%, 서울역이 5.8% 순으로 공실률을 보였다.

2013년 2분기 서울 중대형 상가 공실률은 5.5%였는데 2018년 2분기 7.4%로 늘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소규모 상가 공실률, 홍대·합정 21.6%

서울 주요지역 오피스 빌딩 5군데 중 2곳은 텅텅 비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대형 상가와 소규모 상가도 사정은 마찬가지였다.

14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자유한국당 송석준 의원(경기 이천시, 사진)에게 국토교통부가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2018년 2분기 현재 서울 오피스 건물 중 공실률이 가장 높은 곳은 목동으로 23%에 달했다. 주요 오피스 지역인 종로는 21.4%, 강남대로는 19.9%이었고, 화곡이 19.1%, 충무로가 16.9%, 용산이 15% 순이었다.

중대형 상가도 사정은 마찬가지였다. 서울의 대표적인 상권지역이 이태원의 경우 공실률이 21.6%로 가장 높았고, 논현역이 18.4%, 혜화동이 14.2%, 동대문이 13.9%, 테헤란로가 11.9% 순이었다.

소규모 상가의 경우는 젊은 세대 층에게 핫한 지역인 홍대·합정이 공실률이 17.2%에 달했고, 공덕역이 12.8%, 논현역이 9.2%, 압구정역이 6.9%, 서울역이 5.8% 순으로 공실률을 보였다. 영세 자영업자들도 지가상승에 맞물려 높아지는 임대료를 이기지 못하고 점포를 빼고 있는 상황이라는 점을 엿볼 수 있다.

이런 사정은 최근 5년간 가속화되고 있다. 2013년 2분기 서울 오피스 빌딩 공실률은 6.4%에 머물던 것이 2018년 2분기 12.1%로 2배 가량 껑충 뛰었다.

특히 가장 공실률이 높았던 목동의 경우 2013년 2분기 3.8%에 불과하던 것이 2018년 2분기 23%로 공실률이 6배나 대폭 증가했다. 종로도 2013년 2분기 9.9%였던 공실률이 2018년 2분기 21.%로 2배 이상 늘었고, 강남대로도 2013년 2분기 10.1%였던 공실률이 2018년 2분기 19.9%로 2배가 늘었다. 서초도 2013년 2분기 5.1%였던 공실률이 2018년 2분기 11.2%로 2배 이상 늘었다. 

최근 5년간 오피스 건물 공실률 증가폭이 가장 컸던 곳은 서울역으로 2013년 1.5%에 불과했던 공실률이 2018년 14.4%로 무려 10배 가량 뛰었다.

중대형 상가도 비슷한 추세이다. 2013년 2분기 서울 중대형 상가 공실률은 5.5%였는데 2018년 2분기 7.4%로 늘었다. 

이태원의 경우 2013년 2분기 3.3%에 불과하던 공실률이 2018년 2분기 21.6%로 무려 6.5배나 늘었다. 같은 기간 동대문은 7.1%에서 13.9%로 2배 늘었고, 압구정은 3.9%에서 10.7%로 3배가량 늘었으며, 영등포는 6.6%에서 11.2%로 약 2배 늘었다. 중대형 상가가 몰려 있는 곳의 상가공동화가 가속화되고 있는 것이다.

2013년 2분기 3.7%에서 2018년 2분기 3.2%로 공실률이 낮아진 소규모 상가의 경우도 주요 상권지역은 공실률이 대폭 증가했다. 홍대‧합정의 경우 같은 기간 6.2%에서 17.2%로 공실률이 3배 가량 증가했고, 신촌은 0%에서 6.9%까지 늘어났다. 

송석준 의원은 “상가 공실률 증가가 일시적인 현상으로 가볍게 여겨서는 안된다”며 “내수부진 및 경제침체로 발생한 일본의 장기복합불황의 원인이 부동산 시장 붕괴에서 시작됐다는 것을 명심하고 이제라도 제대로 된 부동산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민규 기자 kioo@kukinews.com

Copyright © 쿠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