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금융

부동산 메뉴

국토교통부(장관 강호인)는 「2016년 일반가구 주거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하였다.

(주거안정성) 자가점유율은 '14년 53.6%에서 56.8%로 상승하였고, 전월세전환으로 임차가구 중 월세비중은 같은 기간 55.0%에서 60.5%로 증가하였다.

(주거비부담) 자가가구의 연소득대비 주택가격 비율(PIR)은 ‘14년 4.7배에서 '16년 5.6배로 증가한 반면, 임차가구의 월소득 대비 임대료 비율(RIR)은 같은 기간 20.3%에서 18.1%로 감소하였다.

(주거이동성) 자가가구의 평균 거주기간은 10.6년(’14년 11.2년)으로 감소한 반면, 임차가구는 3.6년(’14년 3.5년)으로 소폭 증가하였고, 최근 2년 내 이사가구 비율도 '16년 36.9%(’14년 36.6%)로 소폭 증가하였다.

(주거수준)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는 ’14년 99만가구에서 '16년 103만가구로 소폭 증가하였으나, 전체가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5.4%로 동일하였으며, 1인당 평균 거주 면적은 33.5㎡에서 33.2㎡로 ’14년 대비 소폭 감소하였다.

[1. 주거 안정성]

(자가점유율) ’14년 53.6%에서 ’16년 56.8%로 상승하였다.

지역별로는 모든 지역에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득계층별로는 저소득층은 소폭 하락한 반면, 중소득층이상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 (수도권) 45.9%→48.9% , (지방광역시) 56.5%→59.9%, (도지역) 63.8%→66.7%
* (저소득층) 47.5%→46.2%, (중소득층) 52.2%→59.4%, (고소득층) 69.5%→73.6%

(자가보유율) ’14년 58.0%에서 ’16년 59.9%로 증가하였다.

모든 지역에서 자가보유율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득계층별로는 저소득층은 소폭 하락한 반면, 중소득층과 고소득층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 (수도권) 51.4% → 52.7%, (지방광역시) 59.9 → 63.1, (도지역) 66.8 → 68.9
* (저소득층) 50.0% → 48.5%, (중소득층) 56.4 → 62.2, (고소득층) 77.7 → 79.3

(월세비중) 임차가구(무상제외) 중 월세가구(보증부 월세 포함)는 ‘14년 55.0%에서 ‘16년 60.5%로 5.5%p 증가하였다.(전세가구는 같은 기간 45.0% → 39.5%로 5.5%p 감소)

(주거환경 만족도) 현재 거주하고 있는 주거환경에 대한 만족도는 2.93점(4점 만점)으로 ’14년에 2.86점에 비해 소폭 상승하였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이 2.96점으로, 지방광역시(2.91점)와 도지역(2.90점)에 비해 다소 높게 나타났으며, 항목별 만족도는 `14년에 비해 교육(+0.09), 대중교통(+0.09), 소음(+0.08) 순으로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2. 주거비 부담]

(PIR) 연소득대비 주택구입가격 배수는 전국(중위수) 5.6배로, ‘14년의 4.7배에 비해 증가하였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이 6.7배로 광역시(5.3배)와 도지역(4.0배)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RIR) 임차가구의 월소득에서 차지하는 월임대료 비율은 전국(중위수) 18.1%로 '14년의 20.3%에 비해 감소하였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이 17.9%로 광역시(15.4%)와 도지역(14.2%)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생애최초 주택마련 소요연수) ‘16년 6.7년으로 ‘14년 6.9년에 비해 소폭 단축되었다.

[3. 주거이동성]

(평균거주기간) 전체가구는 7.7년, 자가가구는 10.6년, 임차가구(무상제외)는 3.6년으로 ’14년 대비 자가가구는 줄고, 임차가구는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주거이동률) 최근 2년 내 이사경험이 있는 가구 비율은 36.9%로, ’14년 36.6%에 비해 증가하였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에 거주하는 가구 중 2년 내 이사경험이 있는 가구는 40.9%로 ’14년 40.3%에 비해 증가하였으며, 지방광역시는 `14년 35.1%에서 ’16년 37.1%로 증가하였고, 도지역은 `14년 32.0%에서 ’16년 30.8%로 감소하였다.

(이사이유) 이사경험이 있는 가구를 대상으로 현재주택으로 이사한 이유를 조사한 결과, ‘가구의 자가주택 마련을 위해’(’14년 17.2% → ’16년 23.9%), ‘주택규모를 늘리려고’(22.4%) 등의 이유가 높게 나타났다.

(이사계획) 전체가구 중 이사의향이 있는 가구는 13.2%로서, 지역별로는 수도권에 거주하는 가구의 이사의향이 16.0%로서, 지방광역시(11.2%) 및 도지역(10.2%)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4. 주거수준]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 비율) ‘06년 이후 매년 큰 폭으로 감소하다 ’16년은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5.4%로 동일하나 가구수는 103만 가구로 ’14년 99만 가구(5.4%)보다 4만 가구가 증가하였다.

(1인당 주거면적) ’14년 33.5㎡에서 ’16년 33.2㎡로 0.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5. 주거의식과 가치관]

(내 집 마련 의식) 국민의 82.0%는 ‘내 집을 꼭 마련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 ‘14년(79.1%)에 비해 보유의식이 증가하였다.

가구주의 연령에 따라 구분하면, 가구주 연령이 낮을수록 보유의식이 낮게 나타났다.

[6. 대출금 등 상환 부담]

(임대료 및 대출금상환 부담) 국민의 66.5%가 임대료 및 대출금상환에 부담을 느끼고 있으며, 지역별로는 수도권 거주가구가 상대적으로 부담을 크게 느끼고 있고, 점유형태별로는 월세, 전세, 자가 順으로 나타났다.
* (수도권) 71.0%, (도지역) 62.1%, (지방광역시) 61.4%
* (월세) 82.3%, (전세) 74.3%, (자가) 50.6%

[7. 주거지원 정책수요]

주거지원 프로그램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전체가구의 39.5%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점유형태별로는 월세가구의 경우, ‘주거지원이 필요하다’ 의견이 59.6%로서, 전세(55.4%) 및 자가(27.1%)가구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득계층별로는 저소득층은 ‘주거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41.7%로 나타났으며, 중소득층도 이와 유사한 41.1%를 보여 중산층 주거지원 정책 수요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소득층은 32.3%)

주거지원이 필요하다는 가구를 대상으로 가장 필요한 주거지원 프로그램을 조사한 결과, 자가가구는 ‘주택자금 대출지원‘ 및 ’주택개량·개보수지원‘을, 임차가구는 ‘전세자금 대출지원‘, ’주택자금 대출지원‘. ’월세보조금‘을 가장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계층별로는 저소득층은 ‘전세자금 대출지원‘, ‘공공임대주택 공급‘을 필요로 하고, 중소득층과 고소득층은 ‘주택자금 대출지원‘을 가장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8. 주거실태조사 개요 및 자료 공개]

주거실태조사는 국민들의 주거환경과 주거이동, 가구특성과 관련된 기초자료 수집을 위해 ‘06년부터 격년단위로 실시해 오고 있으며, 금번 조사는 국토연구원과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전국의 2만 가구를 대상으로 `16년 7~9월까지 1:1개별 면접방식으로 진행되었다.

한편, 국토교통부(장관: 강호인)는 2017년부터 조사표본을 6만 가구로 확대하고 조사주기도 단축(2년→1년)하여 다양한 계층에 대한 심층분석과 함께 정책의 시의성을 확보할 계획이며, 특히 그동안 부정기적으로 실시하던 청년, 신혼부부, 노인 등에 대한 주거실태조사 결과가 매년 발표됨에 따라 생애주기별 맞춤형 주거복지정책 수립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오늘의 주요뉴스

더보기

    부동산 이슈보기

    베스트토론

    더보기

      부동산 토론 이슈보기

      서비스 이용정보

      Daum부동산은 제휴 부동산정보업체가 제공하는 매물 정보와 기타 부동산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제휴 업체의 매물 정보를 비롯한 각종 정보 및 이와 관련한 거래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부담하지 않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Kakao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