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금융

부동산 메뉴

연도별 핫이슈 메뉴

2024
2023
2022
2021
2020 2019 2018 2017 2016 2015 2014 2013 2012 2011 2010 2009 2008

[이슈]10.24 가계부채 종합대책 "집값 눌러라"..재건축 연한 다시 늘리나

주택시장 추가규제 검토..서울시 연한 40년으로 늘면 목동·강북 일부 재건축 차단
신규분양 과열 막기 위해 채권입찰제 도입 가능성도
정부가 서울 강남과 한강변 등 일부 지역에서 급매물이 거래되고 호가가 다시 오르자 주택시장 고삐를 다시 죄기 시작했다. 이들 지역을 중심으로 집값이 오르고 다른 지역까지 오름세가 확산될 경우 자칫 걷잡을 수 없는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고 판단, 서둘러 진화에 나선 것이다. 정부는 우선 지난해 발표한 8·2부동산대책과 10·24가계부채대책이 제대로 시장에서 지켜지고 있는지부터 집중 모니터링한다. 서울 강남권 등 집값이 꿈틀대는 지역을 중심으로 자금조달계획서와 실거래신고내역 등을 자세히 들여다보기로 했다. 이 과정에서 편법증여, 세금탈루가 의심되면 국세청 등과 적극 협력해 세무조사까지 할 계획이다.

■투기지역·투기과열지구 추가 지정 유력

주택시장에서 과열 기미가 계속 나타날 경우 추가로 주택시장 안정대책도 내놓을 예정이어서 향후 나올 추가 대책에도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정부가 내놓을 수 있는 대책은 투기지역과 투기과열지구 지정을 확대하는 방안이 유력하다. 정부는 지난해 8·2 부동산대책 등을 통해 서울시 전 지역과 세종시, 경기 과천시, 경기 성남 분당구, 대구 수성구를 투기과열지구로 지정하고 이 중 서울 강남·서초·송파·강동·용산·성동·노원·마포·양천·영등포·강서구와 세종시를 투기지역으로 묶었다. 그러나 서울 강북 일부 지역에서 집값 움직임이 포착되고 있어 투기지역에서 제외된 지역을 투기지역으로 추가 지정하는 방안도 검토된다. 투기지역으로 지정되면 주택담보대출 만기 연장이 제한되며 주택담보대출 건수도 기존 1인당에서 가구당 1건으로 제한된다.

또 조정지역을 비롯한 수도권 지역 중 과열 기미가 보이는 곳을 투기과열지구로 지정하는 방안도 유력하다. 투기과열지구로 지정되면 주택담보인정비율(LTV), 총부채상환비율(DTI)이 40%로 줄어들고 재건축 조합원 지위양도가 금지된다. 또 3억원 이상 주택을 구매할 때는 자금조달계획, 입주계획을 밝히고 추후 증여세 등의 탈세나 실거주 여부 등을 확인받는 주택거래신고제가 적용된다. .

■재건축연한 다시 늘릴 수도

주택시장에서 항상 가장 빨리 움직이며 주변을 자극하는 재건축에 대한 규제도 더 강화할 가능성이 있다. 정부는 앞서 지난 3월 재건축 안전진단 기준을 강화해 재건축 연한이 도래했더라도 무분별하게 재건축을 하지 못하도록 했다. 그러나 최근 다시 서울 은마나 압구정현대, 목동 단지 등에서 집값이 상승세를 보이고 있어 아예 재건축 연한을 강화하는 방안도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다. 재건축 연한은 지자체가 건축연도에 따라 20~40년으로 탄력적으로 운영해왔으나 지난 2014년 9·1대책에서 지자체 조례 이양 권한을 거둬들이며 서울시의 경우 30년으로 짧아진 상태다. 이에 따라 서울시는 40년으로 연한을 늘리면 1980년대 중반에 준공된 서울 목동지구와 서울 강북지역 상당수 단지의 재건축이 막히게 된다.

앞서 김현미 국토부 장관은 지난 1월 "재건축은 구조안전성, 내구연한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말하며 재건축 연한 강화 필요성을 지적한 바 있다. 재건축 연한 조정은 도시및주거환경정비법 시행령 개정사항이어서 국토부의 의지만 있으면 국회를 거치지 않아도 된다.

■청약과열 해소 위해 채권입찰 도입 가능

이 외에도 신규 분양시장 과열을 식히기 위해 채권입찰제를 도입하는 방안도 검토될 가능성이 있다. 현재 주택시장에서 신규 분양되는 주택이 주택도시보증공사(HUG)를 통해 사실상 분양가상한제를 도입, 주변 시세보다 너무 저렴하게 공급되면서 과열 양상을 보이고 있어서다.

채권입찰제는 분양가가 주변 시세보다 지나치게 낮을 경우 분양받는 사람이 추가로 채권을 매입하도록 하는 제도다. 채권금액을 많이 써낼수록 당첨 확률이 높아 시세차익에 대한 기대감을 줄이라는 것으로, 지난 2006년 판교신도시 등에서 도입된 후 2013년 폐지됐다. 채권으로 당첨자의 시세차익을 일부 환수하는 것으로, 재건축 초과이익 환수제와 비슷한 개념이다. 정부는 이에 대해 아직 도입계획이 없다는 입장이지만 과거 시행한 사례가 있어 꼭 배제할 수만은 없는 카드다.

정부는 또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과 협조해 금융권 대출현장에서 LTV, DTI 등 규제가 제대로 이행되는지 집중 감시한다.

kwkim@fnnews.com 김관웅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서비스 이용정보

Daum부동산은 제휴 부동산정보업체가 제공하는 매물 정보와 기타 부동산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제휴 업체의 매물 정보를 비롯한 각종 정보 및 이와 관련한 거래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부담하지 않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Kakao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