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금융

부동산 메뉴

실수요자만 피해볼 수 있어
“정부뿐 아니라 건설사들이 분양시장 과열을 부추긴 측면도 큽니다.”

아파트 분양·입주시장 불안을 다룬 본지 기획 기사가 나간 뒤 한 부동산 전문가는 전화를 걸어와 “정부만 탓할 게 아니다”며 목소리를 높였다.

건설사들이 분양 과열을 조장하는 사례가 적지 않다는 게 그의 주장이었다.

일리 있는 지적이다. 인기 분양 현장을 둘러보자. 아파트 견본주택 주변에 파라솔을 설치하고 영업하는 ‘떴다방’(이동식 중개업자)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이곳에서 떴다방은 아파트 분양권을 사서 더 비싼 값에 파는 과정을 반복하고, 그 과정에서 적잖은 웃돈을 챙긴다. 최근 기자가 찾아간 경기도 남양주시 다산신도시의 ‘분양권 야(夜)시장’ 현장은 이런 이상과열의 결정판이다.

놀라운 일은 야시장이 비밀장소가 아닌 아파트 견본주택 앞에서 버젓이 펼쳐진다는 점이다. 그런데도 건설사들은 뒷짐만 지고 있다. 떴다방의 영업을 제재하거나 관할 구청에 신고하는 일은 아예 없다.

오히려 “견본주택 주변에서 떴다방이 영업한다고 내쫓을 수 있느냐”며 두둔하는 듯한 태도다. 떴다방의 등장을 내심 반기기도 한다. 건설사가 분양시장 과열을 조장·방관하는 꼴이다. 떴다방의 ‘활약’이 아파트 계약률을 끌어올리는 데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노골적 분양판촉도 문제

노골적인 분양 판촉행위도 문제다. 이달 초 서울 강남구 일원동에서 분양한 재건축 단지의 경우 전용면적 59㎡형(옛 25평)이 9억원, 84㎡형(옛 33평)은 12억원 선으로 분양가가 3.3㎡당 3730만원대에 달했지만 업체는 모든 주택형의 계약금을 3000만원으로 정했다.

신규 분양 단지의 일반적인 계약금이 분양가의 10%라는 점을 감안하면 파격적인 조건이다. 계약자를 데려오는 중개업소에 수수료를 주는 권유 마케팅(MGM·member get member)도 동원되는 추세다.

예컨대 올해 초 서울 잠원동에서 분양한 단지는 계약 건당 200만원이었다. 여기엔 공통적으로 ‘일단 계약률을 높이고 보자’는 건설사의 계산이 깔려 있다.

물론 나름의 고충이 있다는 건 안다. 그렇지만 이로 인해 실수요자들만 피해를 볼 수 있다. 특히 떴다방을 통해 분양권을 산 매수자의 경우 훗날 투기수요가 빠져나가면 웃돈이 떨어져 손실을 고스란히 떠안을 수 있다.

건설사들도 최근 분양시장의 과열을 인식하고 있다. 과도한 분양으로 2~3년 후 입주가 시작될 때 ‘소화불량’을 우려한다. 2000년대 중반 분양 과열을 겪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불 꺼진 아파트(준공 후 미분양)’가 속출한 악몽이 반복될 수 있다는 것이다.

‘분양 천국-입주 지옥’의 교훈을 잊지 말고 건설사들도 자정 노력을 해야 할 때다.

 

 

<저작권자(c)중앙일보조인스랜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오늘의 주요뉴스

더보기

    부동산 이슈보기

    베스트토론

    더보기

      부동산 토론 이슈보기

      서비스 이용정보

      Daum부동산은 제휴 부동산정보업체가 제공하는 매물 정보와 기타 부동산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제휴 업체의 매물 정보를 비롯한 각종 정보 및 이와 관련한 거래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부담하지 않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Kakao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