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금융

부동산 메뉴

고점 찍은 2002년 직후 이혼율 최고
집값이 뛰면 이혼율도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최석준 서울시립대 경제학부 교수와 채수복 한국개발연구원(KDI) 전문연구원이 『서울도시연구』 2017년 3월호에 게재한 ‘전세 및 매매가격 변동이 이혼율에 미치는 영향’이란 제목의 논문을 통해서다. 주택값이 이혼율에 미치는 영향을 국내 최초로 분석한 논문이다.  
 
논문에 따르면 1997~2014년 통계청 일반이혼율(15세 이상 혼인 가능 인구에서 이혼 건수가 차지하는 비율)과 KB국민은행 ‘전국주택가격 동향조사’를 비교 분석한 결과 주택값 상승률과 이혼율간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구체적으로 주택값은 98년 전년 대비 12.4% 감소한 뒤 오름세를 탔다. 2002년 16.4% 올라 가장 많이 뛰었다. 이후로 증감을 반복했지만 대체로 상승률이 둔화하는 추세다.
 
부부 분배 몫 늘어날 때 많이 갈라서

이혼율은 97년부터 매년 오르다 2003년(0.9%) 최고점을 찍은 뒤 하락했다. 다만 전세값 상승률은 이혼율과 상관관계가 적은 것으로 분석됐다. 채수복 전문연구원은 "주택값이 떨어지면(경제난) 가정 불화 때문에 이혼율이 높아질 거란 통설과 반대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논문은 주택값과 이혼율이 함께 움직인 원인에 대해 ‘집값이 오를수록 이혼시 남녀가 각자 나눌 재산도 늘어나 이혼을 선택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였다. 반대 경우엔 이혼시 분배할 몫이 줄어들어 이혼을 보류하는 경향이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채 연구원은 "주택은 주거 안정 기능 외에도 가계 자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커 이혼 결정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고 말했다. 

다만 주택값 이외의 요인이 이혼율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채 연구원은 "이혼에 대한 사회적 인식 변화, 여성의 사회적 지위 향상, 이혼숙려제 도입 같은 외부 요인도 주택값과 함께 이혼율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감안했다"고 설명했다.

논문은 ‘통제되지 않은 요인이 연구 결과의 타당성을 부분적으로 저해할 수 있다’고 한계를 밝혔다. 주택값이 크게 오른 지난해는 통계 분석에서 빠졌다. 

 

 

<저작권자(c)중앙일보조인스랜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오늘의 주요뉴스

더보기

    부동산 이슈보기

    베스트토론

    더보기

      부동산 토론 이슈보기

      서비스 이용정보

      Daum부동산은 제휴 부동산정보업체가 제공하는 매물 정보와 기타 부동산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제휴 업체의 매물 정보를 비롯한 각종 정보 및 이와 관련한 거래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부담하지 않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Kakao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