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금융

부동산 메뉴

강남4구가 이끌던 집값 상승, 분당·과천으로 확산
아파트 값 상승세가 서울 전역과 수도권 일부 지역으로 확산하고 있다.

문재인 정부 들어 서울 강남을 중심으로 오르던 집값이 인근으로 번지는 추세다. 집값이 오르면서 가계대출 증가세도 더 가팔라지고 있다. 장하성 청와대 정책실장은 4일 최근의 부동산 시장 움직임과 관련, "부동산 문제를 잘 인식하고 시장상황을 면밀히 보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아파트 값은 전월 대비 0.45% 상승해 4월(0.28%)보다 오름폭이 0.17%포인트 확대됐다. 강남 4구(강남·서초·송파·강동구)가 0.51% 올라 집값 상승을 이끌었다.

성동(0.63%)·광진(0.53%)·노원(0.48%)·용산(0.41%)·양천구(0.31%)도 올랐다. 양천구 목동신시가지 13단지 전용 70㎡의 호가(부르는 값)가 최대 7억5000만원으로 한 달 새 2000만원 올랐다.
 
잠잠했던 신도시와 일부 경기권 아파트 값도 덩달아 오른다. 지난달 경기도 분당 아파트 값은 0.2% 올라 상승 폭이 0.04%포인트 커졌고, 과천은 0.1% 상승해 전월(-0.03%) 대비 오름세로 돌아섰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1만418건으로, 올해 들어 월간 거래량으로 최대치를 기록했다. 지난 4월 거래량(7817건)보다 33% 늘어났다. 주택 경기가 좋았던 지난해 5월(1만163건)보다도 많았다.

권대중 명지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새 정부가 출범하면서 불확실성이 사라지자 오히려 서울·수도권 중심 주택시장에 훈풍이 불고 있다"고 말했다.
 
 
서울 아파트 거래량도 작년보다 늘어

부동산 시장의 호황은 가계빚 증가세를 부채질한다. 꺾이는가 싶었던 가계대출 증가세가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4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은행권의 5월 가계대출 증가액은 6조원으로 잠정 집계됐다(주택금융공사 양도분 포함).

지난달 4조6000억원과 비교해 증가폭이 크게 늘었다. 지난해 5월 증가 규모(6조7200억원)의 90% 수준에 육박한다. 올 1~4월 은행권 가계대출 증가액(10조6000억원)이 지난해 같은 기간(15조1000억원)의 3분의 2 수준에 그쳤던 것과 비교하면 심상치 않은 증가세다.

가계부채 해결은 문재인 대통령의 공약이다. 부채주도에서 소득주도 성장으로 전환한다는 대통령의 국정철학에 충실하려면 가계소득 증가율이 가계부채 증가율을 앞서도록 관리해야 한다. 문 대통령이 지난 1일 "8월 중으로 관계부처 합동으로 가계부채 종합관리 방안을 마련하라"고 지시한 까닭이다.

4일 첫 기자간담회를 연 장하성 청와대 정책실장은 "총체적상환능력비율(DSR) 종합 시스템을 만들려면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현행 제도 내에서 이것을 어떻게 조절할 거냐는 문제를 논의하고 있다"며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 후보자가 임명됐기 때문에 현안 부처와도 얘기할 것"이라고 말했다.

장 실장이 언급한 ‘현행 제도 내 조절’엔 담보인정비율(LTV)과 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가 포함됐다. LTV·DTI 규제가 강화돼 주택담보대출을 조이면 가계대출 증가세가 억제될 뿐 아니라 집값 상승세도 둔화할 가능성이 크다.

김현미 국토부 장관 후보자는 지난달 30일 "두 개의 규제(LTV·DTI)를 푼 것이 지금의 가계부채를 낳는 요인이 됐다"며 규제 강화를 시사했다. 익명을 요구한 금융위 관계자는 "LTV·DTI 규제 연장 여부가 다음달 중 결정될 것"이라 고 말했다.

 

 

<저작권자(c)중앙일보조인스랜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오늘의 주요뉴스

더보기

    부동산 이슈보기

    베스트토론

    더보기

      부동산 토론 이슈보기

      서비스 이용정보

      Daum부동산은 제휴 부동산정보업체가 제공하는 매물 정보와 기타 부동산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제휴 업체의 매물 정보를 비롯한 각종 정보 및 이와 관련한 거래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부담하지 않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Kakao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