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금융

부동산 메뉴

전원생활 성공조건은 편의성
'사람은 공간을 만들고, 공간은 사람을 만든다.' 더위와 추위를 피하고 휴식을 취하기 위한 집, 투자와 과시의 대상으로의 집에서 벗어나 집은 살아가는 공간 그 이상의 의미를 가진다. 건축가이자 수필가인 필자를 통해 집의 본질에 대해, 행복한 삶의 공간으로서의 집에 대해 생각해 보는 시간이다. <편집자>  

오랫동안 전원생활을 준비한 친구가 있었다. 커다란 스케치북에 여러 가지 유럽풍 집 사진을 스크랩했다. 멋진 인테리어 사진과 꽃이 늘어진 창문, 동화 같은 지붕을 가진 집 사진도 오려서 스케치북에 모았다. 마당에 꽃마차가 있는 정원 사진 옆에는 가꾸고 싶은 야생화 사진도 골라 붙였다.

그림을 전공하고 광고대행 회사를 하고 있던 그는 건축을 전공하지 않았지만 꿈꿔왔던 전원주택의 평면과 외관을 스케치하고, 건축자재 전시회에 다니면서 건축 재료까지 공부해 기록해 두었다. 그의 스케치북을 펼쳐보니 살고 싶은 집에 대한 설명을 더 들을 필요가 없었다. 잔디 마당에서 친구들과 주말 파티를 즐기는 꿈을 꾸면서 그는 전원생활로 들어갔다. 

그러나 서울에서 온 그에게 원주민들은 생각보다 호의적이지 않았다. 작지만 논농사와 밭농사를 해서 수확한 청정농산물을 먹겠다는 희망이었지만 농사경험이 전혀 없었다. 원주민들에게 농사에 대한 정보를 얻기도 힘들었고 농기구를 빌리기도 어려웠다. 밭작물이 말라가고 논이 갈라져도 거들떠보는 사람이 없더라고 했다. 

그는 작정하고 동네 대소사에 쫓아다니기 시작했다. 초상집에 가서 궂은일도 거들고 논 일 밭일도 찾아다니면서 얼굴을 익혔다. 그렇게 노력한 지 3년 만에 그들의 세계에 들어갈 수 있었고 비로소 정착이 가능하겠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했다.

그래도 그는 잘 정착한 경우다. 전원생활을 꿈꾸고 귀농·귀촌했다가 다시 도시로 돌아오는 사람들이 많다. 그들이 전원생활을 포기하는 이유 중에 원주민들과의 갈등이 상당한 비중을 차지한다.  

▲ 친환경 볏짚으로 지은 스트로베일 하우스. [중앙포토]


생활 불편도 역귀농 원인
 
오래 전에 서울에서 그리 멀지는 않은 북한강변 산수 좋은 곳으로 이사를 간 젊은 부부가 있었다. 자녀가 어려 학교 문제에서 아직 자유로운 시기에 전원생활을 누리고 싶어 서울 아파트를 정리하고 강이 바라보이는 언덕에 그림 같은 집을 지었다.

그러나 이사 간 첫해 겨울에 사고가 터졌다. 폭설이 내리던 밤에 아이가 열이 펄펄 끓었다. 도저히 차를 운행할 수 없는 폭설이었다. 그들은 아이를 들쳐 안고 캄캄한 밤길 수㎞를 뛰어 큰 길로 나와 병원으로 갔다. 그 부부는 이듬해 봄에 집을 팔고 서울로 돌아왔다.
 
도시인 중 전원생활을 꿈꾸는 사람이 많다. 특히 퇴직을 앞두었거나 자녀들이 출가한 경우 자연을 벗하면서 좀 여유로운 삶을 살고 싶어 한다. 도시에 살면서 아이들을 키우고 평생 직장생활을 했던 사람이 아파트를 벗어나고 싶어 한다.

그러나 도시를 떠나는 것이 생각만큼 쉬운 일이 아니다. 앞의 예처럼 원주민과의 갈등도 문제지만 생활의 불편도 만만치 않다. 도시의 여러 가지 편의를 포기하기로 각오하는 것과 전원생활에서의 불편을 감수하는 것은 별개 문제다.

며칠 전 중앙일보 기사를 보니 전국 228개 지자체 중 3분의 1 이상은 30년 후 없어질 수도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과거 일자리 찾아 서울과 대도시로 인구가 몰렸는데 지금도 달라진 것이 없다.

지방에 일자리가 없으니 젊은 층이 떠나, 이미 초고령 사회로 진입한 지역이 많다. 이렇게 고령자가 대부분인 지역엔 의료나 복지·편의시설도 제대로 갖추어져 있지 않다. 스트레스 지수가 도시거주자보다 비도시 거주가가 더 높게 나온 조사 자료도 있다.  

이러한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하면서 전원생활을 꿈꾸는 도시인을 유치할 수 있는 전원마을의 모델개발이 필요하다. 교통 여건이 좋아졌으므로 서울을 기준으로 1시간 반 정도의 거리라면 적당한 지역이 많다. 이 정도라면 도시의 기능을 공유하면서 전원생활을 누리는데 별 무리가 없다. 다양한 세대가 공존하는 것이 그 마을의 지속가능성을 보장하는 주요 요인이다. 

주민공동시설은 고급스럽게

특히 젊은 층을 유치하려면 지속적인 소득이 가능해야 한다. 소득창출이 가능하려면 마을의 규모가 일정규모 이상이어야 한다. 대규모 마을이면 주민공동시설과 각종 편의시설도 유치 할 수 있다.

주민공동시설은 아주 고급스럽게 만들어야 한다. 입주민에게 제공되는 다양한 편의·문화·건강 관련 시설과 방문객을 위한 시설이 잘 갖추어진 공동시설은 입주민에게 여러 가지 소득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작은 집으로 디자인할 수 있어야 한다. 1억5000만 원 정도의 금액으로 작고 아름다운 내 집을 가질 수 있으면 좋다. 작지만 멋진 디자인이 필수다.

무엇보다 아름다운 관광마을이어야 한다. 집이 예쁘고 조경도 사계절 특별한 마을, 꼭 가보고 싶고 살고 싶은 마을이라는 소문이 나면 찾아오는 사람이 많아진다. 계속 이곳에 살 수도 있고, 언젠가 도시로 돌아올 수도 있다. 아름다운 이 마을에 살고 싶어 하는 입주 대기자가 많다면 입주할 때보다 비싼 가격에 팔고 가벼운 마음으로 돌아올 수 있겠다.

 

 

<저작권자(c)중앙일보조인스랜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오늘의 주요뉴스

더보기

    부동산 이슈보기

    베스트토론

    더보기

      부동산 토론 이슈보기

      서비스 이용정보

      Daum부동산은 제휴 부동산정보업체가 제공하는 매물 정보와 기타 부동산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제휴 업체의 매물 정보를 비롯한 각종 정보 및 이와 관련한 거래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부담하지 않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Kakao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