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 아파트 1년에 5억씩 뛴다는데"..경기도 '부동산 한파'로 위축

류정민 2018. 1. 16. 11:0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화성, 광명, 김포 등 아파트 매매가격 '마이너스 성장'..서울-지방 이어 수도권 내 부동산 양극화 심화

[아시아경제 류정민 기자] "강남, 송파는 1년이면 4억~5억씩 아파트값이 뛴다는데…."

서울 인근 신도시와 경기도 주요 도시에 사는 이들은 강남권에서 불어오는 '부동산 봄바람'에 심경이 복잡할 수밖에 없다. 경기도 쪽의 부동산시장은 꽁꽁 얼어붙고 있는데 서울만 부동산 호황이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부동산 양극화가 수도권 내부에서도 감지되고 있다는 얘기다.

16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1월 둘째 주(1월12일 기준) 경기도 아파트 매매가격변동률은 화성 -0.26%, 광명 -0.05%, 김포 -0.03%, 고양 -0.02%, 평촌 -0.02%, 오산 -0.01%, 안산 -0.01%, 남양주 -0.01%, 동탄 -0.01% 등으로 조사됐다.

부동산114가 조사한 38개 지역 중 0.01% 이상의 플러스 성장세를 보인 지역은 7개로 18.4%에 불과했다. 나머지 31개(81.6%) 지역은 제자리걸음(0.00%)을 보이거나 마이너스 성장의 결과를 나타냈다. 광명은 1월 첫째 주에도 -0.09%의 매매가격변동률을 보인 데 이어 둘째 주에도 상대적으로 큰 폭의 마이너스 성장세가 이어졌다.

지난해에 이어 서울 부동산 시장이 정부의 대책에도 아랑곳 없이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는 3일 서울 송파구 한 부동산중개업소 밀집상가에 부동산 매매 및 전월세 가격이 붙어 있다./강진형 기자aymsdream@

이러한 수치를 일시적인 결과로 치부할 수 없는 이유는 몇 가지 요소가 복합적으로 얽혀있기 때문이다. 우선 수요와 공급의 균형이 무너진 데 따른 결과로 볼 수 있다. 경기도는 지난해 12만8842가구의 입주물량이 쏟아진 데 이어 올해에는 16만1992가구가 공급될 예정이다. 서울 입주물량이 올해 3만4703가구 정도에 불과한 것을 고려하면 경기도의 입주물량이 얼마나 많은지 가늠할 수 있다.

화성(동탄), 고양, 남양주 등 마이너스 매매가격변동률을 기록한 지역의 공통점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아파트 입주물량이 집중되는 지역이다. 수요는 제한된 상황에서 새 아파트가 계속 쏟아지면서 아파트값 상승에 부담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른바 '똘똘한 한 채'를 둘러싼 논란도 경기도(신도시) 지역의 부동산 가격 상승의 벽으로 다가오고 있다. 정부가 다주택자의 세 부담을 늘리는 방향으로 정책을 가다듬으면서 서울 강남권 주택에 대한 관심은 더 커졌다. 다주택자가 정부 정책을 고려해 집을 내놓더라도 처분 우선순위를 정할 때 강남 등 유망 지역 중심으로 포트폴리오를 짤 가능성이 크다는 얘기다.

실제로 1월 둘째 주 아파트 매매가격변동률을 보면 서울에서도 송파구 1.19%, 강남구 1.03%, 양천구 0.95%, 서초구 0.73%, 강동구 0.68% 등의 지역이 강세를 보였다. 강남권이거나 교육 환경이 우수한 지역을 중심으로 집값 훈풍이 이어지고 있다는 얘기다.

경기도 중에서는 과천(0.95%), 분당(0.49%) 등 강남 인근 지역이 강세를 보였다. 부동산114 관계자는 "과천은 원문동 래미안슈르가 1000만~3000만원, 별양동 주공 4·6단지가 1000만~2000만원 상승했다"면서 "강남권 아파트 가격 강세가 과천 아파트시장에도 영향을 미치는 모습"이라고 설명했다.

지난해 연말 이후 올해 초까지 이어지고 있는 부동산시장 흐름은 정부의 애초 계산과는 다른 양상이다. 정부는 지난해 8·2 부동산 대책 발표 이후 다주택자에 대한 압박 수위를 높이면 과열 흐름이 일정 부분 진정될 것으로 예측했다. 하지만 강남권을 중심으로 이러한 예측은 빗나가고 있다.

주요 부처 장관들은 지난 11일 '경제현안 간담회'에서 강남권의 부동산 강세를 '투기 수요'에 따른 결과물이라고 진단했다. 더욱 강도 높은 현장 조사와 자금출처 조사를 공언하고 나섰지만 번지수를 잘못 짚었다는 지적도 있다.

백성준 한성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강남권 부동산은 환금성이 뛰어나다는 점에서 금융상품에 가까운 부동산으로 볼 수 있다"면서 "강남 아파트값이 올라간다고 버블이라고 볼 수는 없고 수요가 뒷받침되면 계속 오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류정민 기자 jmryu@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