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시장 브레이크 밟나" 은행 전세대출 증가폭 1년만에 최소

입력 2018. 7. 17. 07:4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국 아파트 전셋값이 수개월째 하락하는 가운데 시중은행 전세대출 총액 증가세가 주춤하는 모양새다.

17일 은행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KEB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5대 시중은행의 6월 말 전세자금대출 총 잔액은 55조437억원으로 집계됐다.

시중은행의 전세자금대출 총액은 지난해 8월 40조원, 올해 3월 50조원을 돌파하며 빠르게 늘어왔다.

은행권 전세자금대출 잔액의 전월 대비 증가 폭은 올해 2월 4.51%로 정점을 찍은 뒤 4개월 연속 줄어들고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시중은행 전세대출 증가율 넉달째 둔화..전셋값↓·여름 비수기 영향

(서울=연합뉴스) 구정모 김경윤 한혜원 기자 = 전국 아파트 전셋값이 수개월째 하락하는 가운데 시중은행 전세대출 총액 증가세가 주춤하는 모양새다.

[연합뉴스TV 제공]

17일 은행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KEB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5대 시중은행의 6월 말 전세자금대출 총 잔액은 55조437억원으로 집계됐다.

전월 말 잔액(53조6천888억원)보다 1조3천549억원(2.52%), 전년 동월 말 잔액과 비교하면 16조7천675억원(43.81%) 늘었다.

시중은행의 전세자금대출 총액은 지난해 8월 40조원, 올해 3월 50조원을 돌파하며 빠르게 늘어왔다.

하지만 최근 들어 전월 대비 증가세가 둔화하고 있다.

은행권 전세자금대출 잔액의 전월 대비 증가 폭은 올해 2월 4.51%로 정점을 찍은 뒤 4개월 연속 줄어들고 있다.

지난 3월 전세대출 잔액은 전월 대비 3.61% 증가했다. 4월과 5월 증가 폭은 각각 3.10%, 2.57%였다.

지난달에도 전월 대비 증가폭이 2% 중반에 머물면서 지난해 7월(2.49%) 이후 약 1년 만에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주요은행 전세대출 잔액 규모 증가 [연합뉴스 자료사진]

이는 전세시장이 몇 달째 침체 국면에서 벗어나지 못한 데 따른 영향으로 풀이된다.

KB부동산의 주간 주택시장동향에 따르면 전국 아파트 전셋값은 3월 5일 이후 18주 연속 하락했다. 그나마 보합을 기록했던 주를 제외하면 전국 전셋값은 지난해 10월 16일 이후 단 한 번도 오르지 않았다.

전세 거래도 거의 이뤄지지 않고 있다.

지난달 4일 자 전국 전세거래지수는 10.6으로, 2008년 12월 29일 이후 약 10년 만에 가장 낮았다.

전세거래지수는 전세 계약의 활발함을 나타내는 지표다. 0∼200 범위에서 움직이며 0에 가까울수록 거래가 한산하다는 것을 뜻한다.

여기에 여름철 비수기라는 계절적 요인도 겹쳤다.

통상 여름 장마철과 휴가철에는 이사 수요가 적어 부동산 시장에서는 전세 거래량이 적은 비수기로 꼽힌다.

다만 큰 이변이 없는 한 전세자금대출 잔액은 연내 60조원 선을 돌파할 전망이다.

올 하반기 매달 총액 증가율이 1.5%만 되더라도 연말께 총 잔액은 60조원을 달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최근 약 3년 동안 전세자금 잔액의 월별 증가율은 단 한 차례도 1.80% 아래로 내려가지 않았다.

heeva@yna.co.kr

☞ 관광객 보트에 떨어진 '용암폭탄'…무슨 일 났나?
☞ '오토바이 속 현금다발 3억5천' 통째로 훔친 일당
☞ '후시딘 발라 배식구 탈주' 최갑복 병원서 나체 난동
☞ '盧의 남자'--> 朴정부 총리후보-->'한국당 집도의'
☞ 걸그룹 공연에 화장실로 '집단피신' 北탁구 男선수들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