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Eye] 뉴타운 들어선 왕십리 아파트값, 강남과 비교하니..

류정민 입력 2018. 8. 18. 08:3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부동산 Eye'는 부동산을 둘러싼 흥미로운 내용을 살펴보고 정부 정책의 흐름이나 시장 움직임을 분석하는 연재 기획물입니다.

하지만 왕십리 뉴타운 사업이 2014년까지 이어지면서 서울 부동산 지도를 바꿔놓았다.

왕십리 뉴타운 지역은 10억원 아파트가 즐비한 동네가 됐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허름한 노후주택 많았던 왕십리, 서울 부동산 다크호스..84㎡ 아파트 8월 실거래가 10억원대 훌쩍

[아시아경제 류정민 기자] ‘부동산 Eye’는 부동산을 둘러싼 흥미로운 내용을 살펴보고 정부 정책의 흐름이나 시장 움직임을 분석하는 연재 기획물입니다.

서울 성동구 왕십리 뉴타운 1구역에 위치한 텐즈힐 견본주택에 많은 인파가 몰렸다.

"왕십리 밤거리에 구슬프게 비가 내리면…."

가수 김흥국의 '59년 왕십리'는 서민의 애달픈 삶을 투영한 노래다. 왕십리는 영화나 드라마, 대중가요에서 '잿빛 이미지'로 그려질 때가 많았다. 허름한 노후 주택이 많은 관계로 오랜 시간 서민의 주거 공간 역할을 했다. 다른 지역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개발은 더뎠고, 주거 환경은 더욱 낙후했다.

비 오는 날에는 왕십리 인근 대성연탄의 분진 때문에 거리가 까맣게 물들었다. 왕십리 대성연탄 공장은 2002년까지 운영됐다. 개발의 열풍이 서울 부동산시장을 뜨겁게 달구던 시절에도 왕십리는 '다른 길'을 걸었다. 왕십리는 부동산시장에서 관심의 초점이 아니었다.

17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 시스템에 따르면 2008년 한 해 동안 서울 성동구 상왕십리동 아파트 거례 사례는 '0건'이다. 그 지역에서는 아파트에 사는 것 자체가 신기한 일이었다. 하지만 왕십리 뉴타운 사업이 2014년까지 이어지면서 서울 부동산 지도를 바꿔놓았다.

저층 다세대 주택이 대부분이던 왕십리는 고층 아파트촌으로 바뀌었다. 왕십리 뉴타운 지역은 10억원 아파트가 즐비한 동네가 됐다. 왕십리역은 지하철 2·5호선, 경의중앙선, 분당선 등 4개 노선이 만나는 교통 요충지인데 뉴타운 호재까지 맞물리면서 가격이 오를 수밖에 없었다.

2014년 건축된 상왕십리동 텐즈힐 2구역 84.92㎡는 분양 당시 6억5000만원 안팎이었지만 올해 4억원가량 오른 가격에 실거래가 이뤄지고 있다. 텐즈힐 2구역 84.92㎡는 지난 6월 10억4500만원에 거래됐다.

하왕십리동도 마찬가지다. 하왕십리동 텐즈힐 1단지 84.96㎡는 8월 초순에 11억2000만원에 거래됐다. 이는 비슷한 전용면적의 강남권 아파트와 견줘도 밀리지 않는 수준이다. 강남구 세곡동 세곡리엔파크3단지 84.96㎡는 8월에 9억9500만원에 거래됐다. 송파구 장지동 송파파인타운7단지 84.94㎡는 9억3000만원에 매매됐다.

왕십리는 행정구역으로는 상왕십리동, 하왕십리동, 도선동, 행당동 등으로 구성돼 있다. 10억원대 아파트는 대부분 텐즈힐, 센트라스 등 왕십리 뉴타운 지역에 있다. 10년 전만 해도 왕십리 인근에서 10억원대 아파트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2008년 왕십리에서 가장 비싼 아파트는 풍림아이원 114.928㎡로 8억6000만원에 거래된 바 있다.

왕십리 뉴타운이 들어선 이후 전체적으로 아파트 값이 많이 올랐다. 김은진 부동산114 리서치팀장은 "대규모 뉴타운 사업을 진행하면 외부인이 대거 유입되면서 거주민의 구성이 바뀌는데 왕십리도 과거와는 다른 지역이 됐다"면서 "뉴타운 후광 효과와 역세권 개발에 대한 기대감은 왕십리 아파트 시세를 떠받치는 힘"이라고 말했다.

류정민 기자 jmryu@asiae.co.kr

Copyright©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