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익빈 부익부' 더 키우는 부동산

박병률 기자 2018. 12. 20. 22:09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경향신문] ㆍ2018 가계금융 조사 결과

부자들 자산 7478만원 늘 때 저소득 가구 ‘912만원’ 증가 “분배 전에 집값부터 잡아야”

부동산 가격 상승에 고소득층과 저소득층 간 자산격차가 더 벌어졌다. 소득증가는 저소득층이 고소득층보다 빨랐지만 자산증가를 따라가지 못했다. 소득상위 20%인 소득 5분위 가구가 보유한 자산평균가격이 처음으로 9억원을 돌파했다.

20일 통계청·금융감독원·한국은행이 내놓은 ‘2018년 가계금융·복지조사’ 자료를 보면 올 3월 기준 가구의 평균 자산은 4억1573만원, 부채는 7531만원으로 평균 순자산은 3억4042만원으로 집계됐다. 자산은 부동산이 압도적이었다. 실물자산(부동산)은 74.7%, 예·적금 등 금융자산은 25.3%였다. 부채는 금융부채 72.3%, 전세금 등 임대보증금 27.7%로 구성됐다.

1년 전과 비교한 자산증가율은 7.5%로 부채증가율(6.1%)보다 높았다. 지난해 부동산 가격이 원체 가파르게 상승하면서 자산가치가 상승한 탓이다. 1년 새 가구의 순자산은 2470만원 증가했다.

소득도 증가했지만 자산증가율을 밑돌았다. 가구당 평균소득은 2017년 기준 5705만원으로 전년보다 4.1% 증가했다. 다만 세금, 공적연금 등 비소비지출이 가파르게 늘면서 처분가능소득은 평균 4668만원으로 전년보다 3.3% 증가하는 데 그쳤다.

소득종류별로 보면 근로소득은 전년 대비 4.0%(3639만원) 증가했지만 사업소득은 2.2%(1244만원) 증가하는 데 그쳤다. 자영업자의 소득증가가 평균을 밑돌았다는 뜻으로 불황의 여파 때문으로 해석된다. 소득주도성장 등 분배정책 강화로 기초연금, 근로·자녀장려금 등 공적이전소득(7.0%)은 큰 폭으로 증가했다.

가처분소득증가(3.3%)는 순자산증가율(7.8%)의 절반에 불과했다. 통계청 관계자는 “소득도 증가했지만 실물자산가치가 더 빨리 증가하면서 자산증가가 더 빨랐다”고 말했다.

2017년 말 소득 1분위 가구의 소득증가율은 5.6%로 5분위(4.6%) 가구를 앞섰다. 이에 따라 지니계수는 0.355로 전년도와 같았다. 고령층에 대한 공적이전소득이 늘면서 은퇴연령층의 지니계수는 0.419로 전년보다 0.006 낮아졌다. 빈곤층에 대한 지원이 강화되면서 상대적 빈곤율은 17.4%를 기록, 전년보다 0.2%포인트 감소했다. 상대적 빈곤율이란 균등화 처분가능소득이 중위소득 50%에 미치지 못하는 인구의 비율로 1인기준 소득이 1322만원 이하인 사람으로 보면 된다.

소득 5분위 배율은 7.00배로 전년 대비 0.02배포인트가 증가하는 데 그쳤다.

하지만 자산가격은 크게 벌어졌다. 올 3월 기준 소득 5분위 가구가 보유한 자산은 9억572만원으로 전년(8억3094만원)보다 9.0% 증가했다. 같은 기간 1분위 가구 증가율(7.3%)을 웃돈다. 5분위 가구 자산이 7478만원 증가할 때 1분위 가구는 912만원 증가하는 데 그쳤다. 이에 따라 소득계층별 자산점유율은 5분위 가구가 42.6%로 전년보다 0.6%포인트 높아졌다. 순자산도 소득 5분위 가구는 9.0%(6억7591만원→7억3701만원) 증가해 소득 1분위 가구의 7.8%(1억906만원→1억1753만원)를 웃돌았다.

소득 5분위 가구가 전체 순자산에서 차지하는 점유율은 43.3%로 전년보다 0.5%포인트 상승했다. 서울 강남 등 고소득층이 보유한 고가의 부동산 가격 상승이 자산격차를 벌린 것으로 해석된다. 조영철 고려대 초빙교수는 “분배를 강화하더라도 부동산 가격을 못 잡으면 소득주도성장을 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박병률 기자 mypark@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