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금융

부동산 메뉴

지역별 > 경상


[헤럴드경제=강승연 기자]한미 정책금리 역전 폭이 0.50%포인트로 확대됐지만 외국인 채권자금 이탈은 제한적일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외국인 채권투자자금은 국가 간 금리 차보다 글로벌ㆍ국가별 리스크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이란 설명이다.

3일 한국은행이 발간한 BOK경제연구 ‘글로벌 금융위기 전ㆍ후 외국인의 채권투자 결정요인 변화 분석: 한국의 사례’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 외국인 채권투자자금 유출입은 차익거래 유인보다는 글로벌ㆍ국가 리스크 요인에 더 큰 영향을 받았다.

보고서는 글로벌 금융위기 전·후 외국인 채권투자 결정요인을 살펴보기 위해 위기 이전(2004∼2007년), 위기 기간(2008∼2009년), 위기 이후 기간(2010∼2017년) 3개 기간으로 세분해 살폈다.

분석 결과 금융위기 이전엔 금리 차가 벌어지면 외국인 채권투자자금이 빠져나갔지만 이후엔 통계적으로 뚜렷한 상관관계가 성립하지 않았다.

대신 글로벌 금융 리스크나 지정학적 리스크, 정치 리스크 등 개별 국가 리스크가 커지면 유출하는 등 글로벌·국가 리스크 영향은 지속했다.

수치로 보면 외국인 채권자금 유출입 변동성을 100%로 볼 때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엔 금리 차의 기여율은 23.0%에 달했다. 글로벌 리스크는 16.8%, 국가 리스크는 0%에 불과했다.

그러나 위기 이후에는 금리 차가 미치는 영향력은 0.2%로 쪼그라든 반면 글로벌리스크는 2.3%로 금리 차보다 기여율이 커졌다. 국가 리스크도 0.7%로 영향력이 확대했다.

이는 한국 경제 펀더멘털이 강화한 영향이라고 유 연구위원은 분석했다.

한국 경상수지 흑자 폭은 2012년 이후 증가했고 외화 보유액도 꾸준하게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다.

한국 경제 지급 여력을 보여주는 단기외채 비율(외환보유액 대비 1년 이하 단기외채)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낮아졌다.

아울러 외국인 채권투자 성격이 위기 이후 달라진 영향도 있다. 민간자금보다 공적 자금 위주로 바뀌고 만기도 중·장기화했다.

외국인 투자 가운데 공적자금의 채권보유잔액 비율은 2008년 10%에 그쳤으나 지난해 71%까지 커졌다.

주로 장기로 자금을 굴리는 공공 부문의 채권 보유가 늘면서 외국인 채권 투자 중에 만기 1년 이하 비중은 2008년 55%에서 지난해 28%로 반토막이 됐다.

다만, 채권 유출입에서 금리 차, 글로벌·국가 리스크 등 세 가지 변수 전체의 영향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축소됐다.

유복근 한은 미시제도연구실 연구위원은 ”외국인 채권투자 결정에 금리 차와 같은 차익거래 유인이나 리스크 요인 이외 변수 영향이 커졌음을 시사한다“며 ”경제 성장률과 물가 차이, 글로벌 리스크에 반영되지 않은 신흥국 불안 등 영향력이 커진것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글로벌 리스크 변화를 면밀하게 모니터링하고 국가 리스크 요인이 현실화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며 ”차익거래 유인도 계속해서 점검해야 할 것“이라고 제언했다.

onlinenews@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주요뉴스

더보기

    부동산 이슈보기

    베스트토론

    더보기

      부동산 토론 이슈보기

      서비스 이용정보

      Daum부동산은 제휴 부동산정보업체가 제공하는 매물 정보와 기타 부동산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제휴 업체의 매물 정보를 비롯한 각종 정보 및 이와 관련한 거래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부담하지 않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Kakao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