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금융

부동산 메뉴

지역별 서울연구원, 2030서울플랜 모니터링 결과

[이데일리 경계영 기자] 최근 서울에 공급된 주택 과반이 다세대주택인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민의 주거 환경이 나아지려면 어떤 주택이 공급돼야 하는지 고민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서울연구원이 지난 8일 ‘서울의 도시변화와 도시기본계획 재정비 방향 토론회’에서 공개한 2030 서울도시기본계획 모니터링 결과를 보면, 2016년 서울에 새로 지어진 주택은 8만65가구로 2010~2015년 평균 공급량 8만4424가구를 밑돌았다.

신규 공급 주택의 56.3%는 다세대주택이었고 아파트 비중은 31.5%로 다세대주택 절반 수준에 그쳤다. 신규 주택 내 아파트 비율은 2010년 71.1%였지만 2016년 31.5%로 39.6%포인트 떨어지는 동안 다세대주택 비율은 34.7%포인트 높아졌다.

주택 현황을 전국과 비교했을 때 서울시는 다세대주택에 가장 특화해있고, 다가구주택과 연립주택 역시 전국 비율 분포보다 집중돼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주택 규모별로는 2016년 기준 전용 40~60㎡ 크기 소형 주택이 2010년 대비 17만5148가구 늘며 가장 큰 증가 폭을 기록했다. 20~40㎡ 주택은 13만8200가구, 60~85㎡ 주택은 9만2254가구 각각 증가했다. 이와 달리 85~230㎡ 대형 주택은 같은 기간 10만7966가구 감소했다.

이날 토론회에서 변창흠 세종대 행정학과 교수는 “뉴타운 해제 이후 어떤 모습의 주거지로 재편돼야 하는지 고민이 필요하다”며 “다세대주택 위주로 증가하는 추세가 이상적인지도 봐야 한다”고 조언했다.

아울러 공공임대주택 재고는 총 26만1408가구로 2012년 이후 연평균 7.8%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건설형과 매입형, 임차형 비중이 각 5대3대2 비중으로 구성돼있었다.

다만 재고량의 3분의 1이 강서(32.1%)에 위치해있고, 나머지 물량도 노원(26.8%), 강남(16.6%) 등에 쏠려있었다.

김상일 서울연구원 도시공간연구실장은 “적정 주거면적에 미달하는 가구가 2010년 54.6%에서 2016년 43.9%로 줄고 주차면수·병원 병상수, 아동·노인 복지시설이 늘어나는 등 주거 환경이 점진적으로 개선됐다”면서도 “동북·서북권에 대형 판매시설이 상대적으로 미흡한 등 지역격차는 일부 남아있다”고 지적했다.

경계영 (kyung@edaily.co.kr)

오늘의 주요뉴스

더보기

    부동산 이슈보기

    베스트토론

    더보기

      부동산 토론 이슈보기

      서비스 이용정보

      Daum부동산은 제휴 부동산정보업체가 제공하는 매물 정보와 기타 부동산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제휴 업체의 매물 정보를 비롯한 각종 정보 및 이와 관련한 거래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부담하지 않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Kakao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