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금융

부동산 메뉴

서울 광화문 일대의 대형 빌딩. /사진=김창성 기자
서울 광화문 일대의 대형 빌딩. /사진=김창성 기자
지난 2016~2017년 사이 서울시의 1000억원 이상 프라임급 상업용부동산 거래가 각각 24건과 22건을 기록해 2015년의 11건 대비 2배나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거래 규모도 2015년의 2조6783억원에서 2016년 6조9505억원, 2017년 5조3792억원으로 나타나 증가폭도 2배 이상 뛴 것으로 조사됐다.

19일 상업용부동산 시장조사 전문 업체 부동산도서관에 따르면 서울시 전체 상업용부동산 거래규모 중 1000억원 이상 프라임급 상업용부동산 거래비중은 2015년 19.3%에서 2016년 26.4%, 2017년 25.9%로 2년간 큰 폭으로 증가했다.

지난 1분기에도 8건(2조5465억원)을 기록해 금액기준으로는 2015년 연간 거래액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3년간 프라임급 상업용부동산 거래가 가장 많았던 지역은 중구로 18건 5조1062억원으로 조사됐다. 이어 ▲강남구 15건 2조9683억원 ▲종로구 9건 3조700억원 ▲영등포구 8건 3조 3243억원 등으로 중구와 종로구 등 도심권역(CBD)에서 프라임급 부동산 거래가 가장 활발했던 것으로 집계됐다.

CBD에서 거래된 27건 중 자산운용사, 신탁을 통한 간접거래가 22건, 일반법인 5건 등으로 펀드와 리츠를 중심으로 오피스 빌딩 간접투자가 크게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이 기간 거래된 프라임급 상업용부동산은 중구 시그니처타워 7260억원, 종로구 더케이트원타워 7132억원, 부영태평빌딩 5717억원, 중구 퍼시픽타워 4410억원 등이다.

최근에는 종각역 ‘센트로폴리스 빌딩’이 1조1000억원에 우선협상대상자가 확정됐고 금호아시아나가 도이치자산운용과 광화문 사옥매각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면서 전체 거래금액을 끌어올릴 것으로 보인다.

정유리 NAI프라퍼트리 연구원은 “지속적인 금리상승이 예상되면서 기업들이 자금 유동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그동안 서울 오피스빌딩의 가격상승으로 보유 부동산을 매각할 적기라고 판단해 매물이 쏟아졌다”며 “최근 신규부동산 자산운용사들이 대거 등장하며 시장 유동성이 높아지고 오피스시장의 투자수요 증가와 맞물려 나타난 결과로 판단된다”고 분석했다.

김창성 기자 solrali@mt.co.kr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주요뉴스

더보기

    부동산 이슈보기

    베스트토론

    더보기

      부동산 토론 이슈보기

      서비스 이용정보

      Daum부동산은 제휴 부동산정보업체가 제공하는 매물 정보와 기타 부동산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제휴 업체의 매물 정보를 비롯한 각종 정보 및 이와 관련한 거래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부담하지 않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Kakao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