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금융

부동산 메뉴

서울 부동산정책을 좌지우지하는 중앙정부와 지자체가 서로 엇박자를 냈다.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이 박원순 서울시장의 용산·여의도 개발계획을 공개적으로 비판했으나 박 시장은 다시 개발 의지를 드러내면서 두 기관이 첨예하게 대립할 전망이다.

당초 박 시장의 개발계획이 알려진 이후 용산·여의도 부동산이 꿈틀댔지만 정책 변경에 따른 집값 폭등·폭락을 경험한 바 있는 이들은 우려가 이어졌다.

◆집값 움직이는 말 한마디… 호가 1억~2억원 출렁

김 장관은 지난 23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서울시의 용산·여의도 개발계획에 대해 "지자체가 계획을 수립해도 정부와 협의해야 현실성이 있다"고 말했다.

박 시장은 앞서 싱가포르 방문 중이던 지난 10일 "여의도를 재개발할 것"이라고 말했고 김 장관의 국회 발언 이후인 25일에는 팟캐스트에 출연해 "여의도는 서울의 맨해튼처럼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시장의 싱가포르 발언 뒤 용산·여의도 일대 집값은 크게 움직였다. 호가가 1억~2억원 뛴 매물도 등장했다.

김 장관은 국회에서 이런 부분을 지적하기도 했다. 현정부가 추진하는 부동산 투기근절대책과 규제에 상반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박 시장은 이에 대해 "종합적 가이드라인과 마스터플랜 아래 개발한다는 얘기가 한꺼번에 다 개발하는 것처럼 받아들여졌다"며 "갑자기 땅값이 오르고 난리가 나 제 말 한마디에 이렇게 되니 제가 중요하긴 한가보다"라고 말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이런 움직임을 경계하기도 한다. 특히 용산은 오세훈 전 서울시장이 추진하던 국제업무지구 중단으로 집값이 폭락한 경험이 있다.

용산의 공인중개사사무소 관계자는 "최근 인근 집주인들의 재개발에 대한 문의가 많은데 몇년 전 기대에 부풀었다가 실망한 경험이 있어선지 크게 동요하지 않는 편"이라면서 "개발은 수년이 걸리는데 정부정책은 정권 따라 또 바뀔 수 있다는 점에도 대부분 주민들이 주목하고 있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용산·여의도 개발계획이 장기적인 관점에서 진행돼야 한다고 지적한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용산과 여의도 재개발에는 막대한 예산이 필요하고 주민들이 원하는 방식과도 다를 수 있어서 풀어야 할 과제가 많다"고 말했다.

김노향 기자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주요뉴스

더보기

    부동산 이슈보기

    베스트토론

    더보기

      부동산 토론 이슈보기

      서비스 이용정보

      Daum부동산은 제휴 부동산정보업체가 제공하는 매물 정보와 기타 부동산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제휴 업체의 매물 정보를 비롯한 각종 정보 및 이와 관련한 거래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부담하지 않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Kakao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