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금융

부동산 메뉴

"LH와 과다공급 문제 개선"
올해 상가 공실률이 전국 모든 상가 유형에서 지난해 보다 높아진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세종시나 위례신도시 등 신규 택지의 상가 공실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정부는 신도시 상가 비율을 축소하는 방안도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1일 한국감정원 자료에 따르면 올 2.4분기 전국 중대형 상가의 공실률은 전기 대비 0.2%포인트 상승한 10.7%다. 비교적 공실률이 낮은 소규모 상가도 5.2%로 전기보다 0.5%포인트 올르는 등 전국 모든 상가 유형에서 지난해 동기 대비 1.1∼1.2%포인트 오른 것으로 파악됐다.

최근 위례나 세종 등 개발이 진행 중인 공공택지 사업지구에서 상가 공실이 다수 발생하고 있다.

세종시의 경우 전국 7개 주요 도시 중 상가 공실률이 가장 높다. 중대형은 14.3%, 소규모 상가는 12.0%에 달한다. 2.4분기 공실률이 중대형 14.3%, 소규모 상가는 12.0%를 기록했다. 정부청사 인근 요지의 상가에서도 공실을 쉽게 찾을 수 있을 정도다.

상가 공실률이 높은 것은 인구에 비해 상가 등 상업시설이 과다 공급됐기 때문이다. 그동안 상업용지 면적 비율은 증가했으나 계획인구는 감소해 인구 1인당 상업면적은 큰 폭으로 늘어났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 사업지구에서 1인당 상업면적은 100만㎡ 이하 지구의 경우 1990년 0.76㎡/인에서 현재 2.66/인으로 3.5배 증가했다. 100만∼330만㎡ 중규모 지구는 1인당 상업면적이 1.24㎡/인에서 2.73㎡/인으로 2.2배, 330만㎡ 이상 신도시급 택지의 경우 2.65㎡/인에서 3.41㎡/인으로 1.3배 커졌다.

최근 조성되는 택지의 상업지구 용적률은 600~900%에 달하며 고양 삼송, 고양 원흥, 양주 옥정, 평택 소사벌, 인천 검단1 등의 최고 용적률은 900% 이상이다.

이에 국토부와 LH는 최근 신도시 등 상업시설 공급 과잉 개선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상가 등 상업시설 공급 기준을 마련하고 LH도 상업시설 계획 기준 가이드라인을 만드는 방안을 추진하는 것이다. 상업지역은 면적을 축소하거나 계획용적률 등을 낮춰 경쟁력을 높이고, 단지 내 상가의 가구당 면적도 제한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이와 함께 상가 고분양가를 해결하기 위해 상업시설 공급가 산정 방식을 개선하는 방안도 논의한다. 택지 조성원가 및 경쟁입찰 방식 등 상업시설 공급가 산정 방식을 재검토할 예정이다.

이같은 상가 공급 방안이 적용되면 이들 신도시의 상업면적은 앞서 조성된 공공택지에 비해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국토부 관계자는 "상업시설 과다공급과 인터넷 쇼핑 활성화 등 소비 트렌드 변화, 고분양가 등으로 상가 공실 문제가 심각한 수준"이라며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고 LH와 충분한 협의를 거쳐 공공주택지구 상업시설 과다 공급 문제를 개선할 것"이라고 전했다.

wonder@fnnews.com 정상희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오늘의 주요뉴스

더보기

    부동산 이슈보기

    베스트토론

    더보기

      부동산 토론 이슈보기

      서비스 이용정보

      Daum부동산은 제휴 부동산정보업체가 제공하는 매물 정보와 기타 부동산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제휴 업체의 매물 정보를 비롯한 각종 정보 및 이와 관련한 거래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부담하지 않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Kakao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