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금융

부동산 메뉴

신도시 개발 이대론 안된다
수익형 부동산 열기에 편승
비싸게 분양하고 떠나버려
매수한 은퇴 예정자 등 낭패

[ 윤아영 기자 ]

상가를 공급하는 시행사들이 수익형 부동산 매입 열기에 편승해 비싸게 상가를 분양한 뒤 떠나버리는 일이 반복되고 있다. 임차인 구성 등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주체가 없다 보니 상권이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터무니없이 높은 가격에 분양받은 은퇴예정자 등이 그 피해를 그대로 보고 있다.

2014년 이후 LH(한국토지주택공사)가 공공택지에서 공급하는 상업용지 낙찰가율은 감정가의 2배 이상으로 뛰었다. 지난해 경기 남양주 다산신도시 진건지구의 상업용지는 감정가 대비 최고 346% 수준에 낙찰됐다. 평균 낙찰가율도 261%에 달했다. 하남 미사신도시의 근린상업용지도 감정가 대비 최고 227% 수준에 낙찰됐다. 화성 동탄2신도시 상업용지 낙찰가율도 대부분 200%를 넘었다. 2013년 말 공급된 위례신도시 상업용지 15개 중 13개가 주인을 찾지 못했던 것과 대조적이다. 저금리가 장기화하면서 수익형 부동산 투자열기가 높아지자 시행사들이 상업용지 확보 경쟁을 벌인 결과다.

땅값 상승은 분양가 상승으로 이어졌다. 10년 전만 해도 3.3㎡당 2000만~3000만원 수준이던 신도시 상가(1층 기준) 분양가는 3.3㎡당 최고 1억원까지 치솟았다. 서울 마곡지구에선 작년 대기업 사옥 건너편 1층 상가가 3.3㎡당 1억원 이상에 나왔다. 위례신도시의 한 상가는 3년 전 3.3㎡당 8000만원대에 분양했다. 2007년 인근 상가 1층 분양가격은 3.3㎡당 3000만원대에 불과했다.

그럼에도 전문지식이 없는 은퇴예정자 등이 대거 몰리면서 2017년 상반기까지 상가가 ‘완판행진’을 거듭했다. 그러나 완공 시점이 되자 시행사가 장담했던 수준의 월세를 받는 게 불가능하다는 점이 드러나고 있다. 연 3~4%대 수익을 내기 위해서는 전용면적 33㎡ 매장에서 임대료를 월 300만~400만원가량 받아야 하는데 그 정도 임대료를 감당할 수 있는 업종이 거의 없어서다.

김종율 보보스부동산연구소 대표는 “월세 300만~400만원을 받으려면 월매출이 3000만원 이상 나와야 하지만 프랜차이즈 커피숍 브랜드의 평균 월매출이 2000만원대에 불과하다”며 “시행사들이 불가능한 월세를 제시하면서 상가를 팔 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다른 전문가는 “그나마 싸게라도 임차인을 구할 수 있으면 다행”이라며 “상가 공급이 너무 많아 임차인 구하기가 하늘의 별따기”라고 말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상가 주인은 안정적인 월세를 받기는커녕 담보대출 이자에 관리비 부담까지 지고 있다.

윤아영 기자 youngmoney@hankyung.com

[한경닷컴 바로가기] [글방] [모바일한경 구독신청]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주요뉴스

더보기

    부동산 이슈보기

    베스트토론

    더보기

      부동산 토론 이슈보기

      서비스 이용정보

      Daum부동산은 제휴 부동산정보업체가 제공하는 매물 정보와 기타 부동산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제휴 업체의 매물 정보를 비롯한 각종 정보 및 이와 관련한 거래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부담하지 않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Kakao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