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금융

부동산 메뉴

서울 2012년 6% → 올 12%로

전남·전북·대전은 20% 넘어

서울 대형 상가 공실률 7.4%

경북 18% 최고… 전북·충북順

“결국 자영업 위기로 이어져

규제중심 부동산대책 변화를”

서울 등 수도권에 오피스빌딩과 중대형상가 공급이 늘면서 공실률도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올 2분기 기준 오피스 빌딩 공실률이 20%가 넘는 광역시·도가 3곳이나 돼 공급과잉 우려도 커지고 있다.

11일 국토교통부와 오피스업계에 따르면 서울 오피스 빌딩 공실률은 2012년 2분기 6%에 불과했으나 올 2분기에 12.1%로 6년 사이 6.1%포인트나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에는 이 기간에 중구 센터원빌딩, 종로구 디타워 등 대형 오피스빌딩과 강서구 마곡지구와 송파구 상일지구 등에 크고 작은 오피스빌딩이 대거 공급됐다.

특히 몇 년 사이에 ‘공유오피스’(사무실을 공유하는 것) 공급이 급증하면서 공실률 증가에도 한몫했다. 지난 8월 말 기준 서울 공유오피스는 39.3만㎡로 2016년 말 14.3만㎡ 보다 3배가량 늘었다. 이와 함께 오피스빌딩 대형 지하상가 등이 함께 공급되면서 서울 중대형 상가 공실률도 2012년 2분기 6.3%에서 올 2분기 7.4%로 1.1% 포인트 증가했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송석준(자유한국당) 의원이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전국 오피스 빌딩 공실률도 2012년 2분기 8.4%에서 올 2분기 13.2%로 4.8%포인트 늘었고, 중대형상가 공실률도 2012년 2분기 9.3%에서 2018년 2분기 10.7%로 1.4%포인트 증가했다. 전국에서 오피스 빌딩 공실률이 가장 높은 지역(올 2분기 기준)은 전남으로 22.1%에 달했고, 다음이 전북으로 21.4%, 대전 20.9% 순으로 나타났다. 또 중대형 상가 공실률이 가장 높은 지역은 경북으로 18.4%에 달했고, 전북(16.2%), 충북(14.7%)의 공실률도 높았다.

이처럼 오피스빌딩과 중대형상가의 공실률이 늘어난 것은 지난 3~4년간 서울 도심뿐만 아니라 강서구 마곡지구, 성남 판교와 수원 광교,부산 해운대구 등 전국에 오피스와 상가 공급이 증가하고, 땅값 상승과 세금 증가 등으로 임대료도 올랐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송 의원은 “오피스와 상가의 공실률 증가는 결국 주변 상권 침체와 자영업의 위기로 이어진다”며 “시장의 논리에 반한 규제 중심의 정책보다 임대료를 최소화할 수 있는 부동산 대책을 내놓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2018년 2분기 현재 소규모 상가 공실률이 가장 높은 지역은 세종시로 12%에 달했고, 이어 전북(9.4%), 전남(7.2%)과 경남(7.2%) 순으로 높았다.

김순환 기자 soon@munhwa.com

[문화닷컴 바로가기|문화일보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모바일 웹]

[Copyrightⓒmunhwa.com '대한민국 오후를 여는 유일석간 문화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구독신청:02)3701-5555/모바일 웹:m.munhwa.com)]

오늘의 주요뉴스

더보기

    부동산 이슈보기

    베스트토론

    더보기

      부동산 토론 이슈보기

      서비스 이용정보

      Daum부동산은 제휴 부동산정보업체가 제공하는 매물 정보와 기타 부동산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제휴 업체의 매물 정보를 비롯한 각종 정보 및 이와 관련한 거래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부담하지 않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Kakao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