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금융

부동산 메뉴

소규모 상가 공실률, 홍대·합정 21.6%

서울 주요지역 오피스 빌딩 5군데 중 2곳은 텅텅 비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대형 상가와 소규모 상가도 사정은 마찬가지였다.

14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자유한국당 송석준 의원(경기 이천시, 사진)에게 국토교통부가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2018년 2분기 현재 서울 오피스 건물 중 공실률이 가장 높은 곳은 목동으로 23%에 달했다. 주요 오피스 지역인 종로는 21.4%, 강남대로는 19.9%이었고, 화곡이 19.1%, 충무로가 16.9%, 용산이 15% 순이었다.

중대형 상가도 사정은 마찬가지였다. 서울의 대표적인 상권지역이 이태원의 경우 공실률이 21.6%로 가장 높았고, 논현역이 18.4%, 혜화동이 14.2%, 동대문이 13.9%, 테헤란로가 11.9% 순이었다.

소규모 상가의 경우는 젊은 세대 층에게 핫한 지역인 홍대·합정이 공실률이 17.2%에 달했고, 공덕역이 12.8%, 논현역이 9.2%, 압구정역이 6.9%, 서울역이 5.8% 순으로 공실률을 보였다. 영세 자영업자들도 지가상승에 맞물려 높아지는 임대료를 이기지 못하고 점포를 빼고 있는 상황이라는 점을 엿볼 수 있다.

이런 사정은 최근 5년간 가속화되고 있다. 2013년 2분기 서울 오피스 빌딩 공실률은 6.4%에 머물던 것이 2018년 2분기 12.1%로 2배 가량 껑충 뛰었다.

특히 가장 공실률이 높았던 목동의 경우 2013년 2분기 3.8%에 불과하던 것이 2018년 2분기 23%로 공실률이 6배나 대폭 증가했다. 종로도 2013년 2분기 9.9%였던 공실률이 2018년 2분기 21.%로 2배 이상 늘었고, 강남대로도 2013년 2분기 10.1%였던 공실률이 2018년 2분기 19.9%로 2배가 늘었다. 서초도 2013년 2분기 5.1%였던 공실률이 2018년 2분기 11.2%로 2배 이상 늘었다. 

최근 5년간 오피스 건물 공실률 증가폭이 가장 컸던 곳은 서울역으로 2013년 1.5%에 불과했던 공실률이 2018년 14.4%로 무려 10배 가량 뛰었다.

중대형 상가도 비슷한 추세이다. 2013년 2분기 서울 중대형 상가 공실률은 5.5%였는데 2018년 2분기 7.4%로 늘었다. 

이태원의 경우 2013년 2분기 3.3%에 불과하던 공실률이 2018년 2분기 21.6%로 무려 6.5배나 늘었다. 같은 기간 동대문은 7.1%에서 13.9%로 2배 늘었고, 압구정은 3.9%에서 10.7%로 3배가량 늘었으며, 영등포는 6.6%에서 11.2%로 약 2배 늘었다. 중대형 상가가 몰려 있는 곳의 상가공동화가 가속화되고 있는 것이다.

2013년 2분기 3.7%에서 2018년 2분기 3.2%로 공실률이 낮아진 소규모 상가의 경우도 주요 상권지역은 공실률이 대폭 증가했다. 홍대‧합정의 경우 같은 기간 6.2%에서 17.2%로 공실률이 3배 가량 증가했고, 신촌은 0%에서 6.9%까지 늘어났다. 

송석준 의원은 “상가 공실률 증가가 일시적인 현상으로 가볍게 여겨서는 안된다”며 “내수부진 및 경제침체로 발생한 일본의 장기복합불황의 원인이 부동산 시장 붕괴에서 시작됐다는 것을 명심하고 이제라도 제대로 된 부동산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민규 기자 kioo@kukinews.com

오늘의 주요뉴스

더보기

    부동산 이슈보기

    베스트토론

    더보기

      부동산 토론 이슈보기

      서비스 이용정보

      Daum부동산은 제휴 부동산정보업체가 제공하는 매물 정보와 기타 부동산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제휴 업체의 매물 정보를 비롯한 각종 정보 및 이와 관련한 거래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부담하지 않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Kakao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