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금융

부동산 메뉴


조직격상ㆍ자원투입 확대
도시재생ㆍ균형발전 포석

[헤럴드경제=김성훈 기자] 서울시가 대학과 지역사회 상생발전을 유도하는 ‘캠퍼스타운’ 사업을 확대하기 위해 조직을 개편하고 예산을 확충한다.

13일 서울시에 따르면, 시는 현재 도시계획국 내에 일개 팀 성격으로 꾸려져 있는 ‘캠퍼스타운조성단’을 격상해 ‘캠퍼스타운활성화과’로 편제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시 관계자는 “현재는 조직의 지위가 애매해서 도시계획국 내에서 자체적으로 인원을 가용하고 있는데, 편제가 바뀌면 인원이나 예산이 늘어나 사업이 힘을 받게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시는 또 내년 정부의 도시재생뉴딜 사업의 유형 중 하나인 ‘대학타운형’에도 후보지를 제출해 예산을 지원받을 계획을 짜고 있다. 올해는 서울의 부동산 시장이 과열되면서 추진하기 어려웠지만, 시장이 안정되고 있는 만큼 내년에는 선정을 노려볼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시 관계자는 “도시재생뉴딜의 ‘대학타운형’은 서울시가 선도한 캠퍼스타운사업을 모범으로 삼아 만들어진 것”이라며 “정부 사업으로 선정된다면 성공사례를 만드는 데 힘이 될 것”이라 말했다.

시는 앞서 현재 14개 대학에서 추진되고 있는 캠퍼스타운 사업을 내년 32개 대학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2025년까지는 1520억원을 지원해 캠퍼스타운 60개를 조성하겠다는 목표다.

서울에는 52개 대학에 65만명의 학생이 재학 중이며, 서울시 가용지의 3.7%(11.45㎢)를 차지하고 있다. 세계 어느 대도시보다도 대학의 밀집도가 높지만, 인구감소에 따른 학생 수 감소로 대학과 지역사회의 동반 침체가 우려되는 상황이다. 대학이 가진 역량을 활용해 지역 내에서 사업을 벌인다면, 청년 실업 문제를 해소하고 지역 경제도 활성화시킬 수 있을 것이라는 게 서울시의 계산이다. 또 42개 대학이 강북 지역에 위치해 박원순 시장이 추진하고 있는 강남북 균형발전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고있다.

paq@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주요뉴스

더보기

    부동산 이슈보기

    베스트토론

    더보기

      부동산 토론 이슈보기

      서비스 이용정보

      Daum부동산은 제휴 부동산정보업체가 제공하는 매물 정보와 기타 부동산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제휴 업체의 매물 정보를 비롯한 각종 정보 및 이와 관련한 거래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부담하지 않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Kakao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