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금융

부동산 메뉴

금융硏 부동산 리스크 보고서
파이낸셜뉴스 | 파이낸셜뉴스 | 입력2019.01.13 17:38 | 수정2019.01.13 17:38
국내 부동산 관련 그림자금융이 470조원 규모로 추산됐다. 이 중 17%에 해당하는 80조원 규모의 그림자금융이 부동산 시장 상황이 악화될 경우 부실화 등으로 큰 타격을 받을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13일 한국금융연구원 '국내 부동산 그림자금융 현황과 업권별 리스크 관리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부동산 그림자금융은 작년 9월 말 기준 469조7000억원으로 나타났다.

부동산신탁 수탁액이 242조5000억원으로 가장 규모가 컸다. 이어 부동산 관련 대체투자펀드가 139조원, 비은행권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41조1000억원, 부동산 관련 유동화증권 23조8000억원, PF 채권보증 및 신용보강 22조2000억원, 개인간거래(P2P) 부동산 관련 대출 1조1000억원 등이 뒤를 이었다. 그림자금융은 일반적으로 은행 시스템 밖에서 은행 수준의 건전성 규제를 받지 않는 금융 시스템을 의미하며 '비은행 금융중개'로도 불린다. 보고서는 "장기간의 저금리와 2010년대 초반 이후 수도권을 중심으로 한 부동산시장 호황을 기반으로 부동산 그림자금융이 빠른 속도로 확대됐다"고 설명했다.

이런 가운데 부동산 경기 변동에 따라 시스템 리스크에 노출돼 있는 그림자금융은 80조원 정도로 조사됐다. 전체 부동산 그림자금융의 17%다. 이 중 P2P 부동산 관련 상품의 규모가 1조1000억원에 불과했지만 위험 민감도는 가장 컸다. 이어 부동산펀드 중 직접개발형상품, 증권사 PF대출, PF 신용공여 등 순으로 리스크의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를 작성한 신용상 선임연구위원은 "가계자산에서 부동산 관련 대출 비중이 높은 국내적 상황을 고려하면 부동산 가격 하락에 따른 파급효과는 금융자산 가격 하락 시의 충격보다 클 것"이라며 "현재 국내에는 관련 데이터 구축, 리스크 파악, 유사시 금융시장 전반에 미칠 파급효과 등의 분석을 위한 시스템이 구축돼 있지 않아 정부 및 전 금융권 차원의 시스템 구축이 반드시 필요해 보인다"고 강조했다.

eco@fnnews.com 안태호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오늘의 주요뉴스

더보기

    부동산 이슈보기

    베스트토론

    더보기

      부동산 토론 이슈보기

      서비스 이용정보

      Daum부동산은 제휴 부동산정보업체가 제공하는 매물 정보와 기타 부동산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제휴 업체의 매물 정보를 비롯한 각종 정보 및 이와 관련한 거래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부담하지 않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Kakao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