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당산역 동측에 위치한 준공업지역 1만2387㎡를 구역에 추가 편입시켜 준공업지역에 대한 계획적 개발을 유도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지난 13일 제1차 도시·건축공동위원회를 개최해 이같은 내용의 ‘당산지구중심 지구단위계획구역 및 지구단위계획 계획 결정(변경)(안)’을 수정가결했다고 13일 밝혔다.
당산역 일대는 2030 서울플랜에서 지구중심으로 중심지 위계가 상향된 곳이다. 중심기능 육성과 역세권 활성화를 위해 지구단위계획을 재정비하게 된 지역이다.
주요 계획 내용은 적정 규모의 개발을 위해 노선상업지역과 준공업지역의 용적률 체계를 현행 기준에 맞춰 변경한다. 획지선 계획을 폐지해 개발의 활성화를 도모하게 된다. 준공업지역 내 장기미집행 도시계획시설을 정비하고 대지 내 통로 등을 신설해 구역 내 차량과 보행환경을 개선하했다.
시 관계자는 “당산 환승역세권의 활성화로 이어져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날 서울시는 ‘서울 마천 지구단위계획 결정(변경)(안)’도 원안가결했다. 마천지구단위계획 구역 내 3블록, 4블록 공동주택 부지는 서울시의 공동체주택 보급확산 종합계획에 의거해 새로운 주택유형인 토지임대부 분양주택을 공급할 계획이다.
토지임대부 분양주택사업은 토지의 소유권은 국가, 지방자치단체, 대한주택공사, 지방공사 등이 가지도록 하면서 그 토지를 임대해 건물만 주택 수요자에게 분양하는 주택공급 사업이다.
시 관계자는 “무주택자 주거비 부담경감과 주거안정에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한편 시는 ‘도시·건축공동위원회 역세권 청년주택 분과위원회 구성·운영(안)도 수용했다.
역세권 청년주택 사업은 대중교통 중심지의 효율적 개발을 통해 2030 청년세대에게 임대주택 공급을 촉진하기 위해 서울시가 추진하는 역점 사업이다. 이 사업의 지구단위계획 심의를 전담하는 분과위원회의 구성·운영을 승인한 것.
앞으로는 역세권 청년주택 사업은 서울시 도시.건축공동위원회 본위원회 심의를 거치지 않고 역세권 청년주택 분과위원회 심의만 거친 후 사업을 위한 지구단위계획 결정을 할 수 있다.
분과위원회는 기존의 도시건축공동위원회 위원 중 도시계획, 건축계획, 교통 분야 전문가 등 총 9명으로 구성된다. 2월 21일 첫 분과위원회 심의를 시작으로 원칙적으로 매월 첫째, 셋째 목요일에 개최한다.
kmk@fnnews.com 김민기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Daum부동산은 제휴 부동산정보업체가 제공하는 매물 정보와 기타 부동산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제휴 업체의 매물 정보를 비롯한 각종 정보 및 이와 관련한 거래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부담하지 않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Kakao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