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금융

부동산 메뉴

서울 강남구 삼성동 무역센터 일대. /사진=뉴시스 DB
서울 강남구 삼성동 무역센터 일대. /사진=뉴시스 DB
‘보유세’와 관련해 강남아파트 등 고가 주택에 대한 종합부동산세(종부세) 부과가 주목됐지만 실제 종부세의 대부분은 소수의 법인에게 부과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17년 종부세 총결정세액의 70.4%는 전체 과세대상의 5.5%를 차지하는 법인에 해당됐고 이들 법인의 1곳당 부과액은 개인의 40배에 달했다.

20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서형수 더불어민주당의원(경남 양산을)에 따르면 국세청 제출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7년 종부세 과세대상은 총 41만명, 총 결정세액 1조6864억원이다.

이들 과세대상 중 5.5%(2만2716개)에 해당하는 법인이 총 결정세액의 70.4%(1조1882억원)을 납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과세대상 중 94.5%(38만8810명)를 차지하는 개인의 총 결정세액은 29.6%(4982억원) 수준이다. 1인당 평균세액은 법인(5230만원)이 개인(130만원)의 39.6배다.

재산종류별로는 주택의 경우, 개인이 절대적으로 과세인원이 많고 세액도 컸지만 1인당 평균세액은 법인이 약 19배 많은 것으로 분석됐다.

주택에 대한 종부세 부과대상은 개인이 32만6314명(98.4%), 법인이 5449개(1.6%)이고 결정세액은 개인이 2955억원(76.2%), 법인은 922억원(23.8%)으로 집계됐다.
서형수 더불어민주당 의원. /사진=뉴시스 우종록 기자
서형수 더불어민주당 의원. /사진=뉴시스 우종록 기자
1인당 평균세액은 개인이 90만원에 불과한 반면 법인은 1690만원으로 18.8배에 달했다.

종합합산토지(나대지, 잡종지, 분리과세 및 별도합산 대상토지 중 기준면적 초과 토지)의 경우도 과세인원은 개인이 많지만 세액은 법인이 3.5배 많고 1인당 평균세액은 약 16.5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합산토지에 대한 종부세 부과대상은 개인이 5만8763명(82.6%), 법인이 1만2393개(17.4%)이고 결정세액은 개인이 1526억원(22.3%), 법인이 5309억원(77.7%)으로 법인이 3.5배 많았다. 종합합산토지의 1인당 평균세액은 법인(4280만원)이 개인(260만원)보다 16.5배 많은 것으로 분석됐다.

별도합산토지(영업용건축물의 기준면적 이내 부속토지)의 경우 과세대상 법인 중 4874개(21.5%)로 수가 가장 적었지만 세액은 5650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1인당 평균세액도 1억1590만원으로 나타났다.

서 의원은 “일반적 인식과 달리 개인보다 법인의 종부세 납세액이 훨씬 큰 비중을 차지한다”며 “개인과 가계, 법인의 부담을 구분하지 않은 채 막연한 보유세 논란만 야기할 게 아니라 종부세의 실제 규모와 부담 주체가 누구인지 명확히 이해할 필요가 있으며 자산 불평등 문제도 주택·가계뿐만 아니라 토지·법인을 포함해 모두 파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창성 기자 solrali@mt.co.kr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주요뉴스

더보기

    부동산 이슈보기

    베스트토론

    더보기

      부동산 토론 이슈보기

      서비스 이용정보

      Daum부동산은 제휴 부동산정보업체가 제공하는 매물 정보와 기타 부동산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제휴 업체의 매물 정보를 비롯한 각종 정보 및 이와 관련한 거래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부담하지 않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Kakao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