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금융

부동산 메뉴

국토硏 조사, 전문가는 60%가 긍정.. 규제 추가 강화엔 전문가-일반인 온도차
머니투데이 | 문성일 선임기자 | 입력2019.02.20 10:15 | 수정2019.02.20 10:44
*자료 : 국토연구원(2018년 12월 일반가구 2000명, 전문가 86명 대상 설문조사. 무응답 제외)
*자료 : 국토연구원(2018년 12월 일반가구 2000명, 전문가 86명 대상 설문조사. 무응답 제외)


일반인 10명 중 4명은 현 정부의 부동산정책이 시장 안정에 어느 정도 효과가 있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전문가들은 10명 중 6명 이상이 같은 견해를 나타냈다.

국토연구원이 지난해 12월 일반가구 2000명을 대상으로 ‘현 정부 부동산정책의 시장안정 효과’를 묻는 설문조사 결과 ‘매우 효과가 있다’와 ‘어느정도 효과가 있다’는 응답이 각각 7.0%와 33.7%로 집계됐다.

반면, ‘별로 효과가 없다’와 ‘전혀 효과가 없다’는 응답은 각각 26.5%와 9.7%로 나타나 정책 효과에 대한 부정적 평가보다는 긍정적 평가가 다소 높았다.

전문가 86명을 대상으로 한 같은 질문에는 ‘매우 효과가 있다’와 ‘어느 정도 효과가 있다’는 긍정적 평가가 각각 1.2%와 60.5%를 기록했다. 이에 비해 ‘별로 효과가 없다’와 ‘전혀 효과가 없다’는 응답은 각각 18.6%와 1.2%로 파악됐다.

일반인은 ‘효과가 있다’고 답한 응답자 중 ‘다주택자 양도소득세 강화’가 매우 효과적이란 응답이 21.5%로 가장 많았다. 이어 △주택담보대출 한도와 건수 등 규제강화(16.6%) △투기수요 차단을 위한 재건축초과이익 환수(15.4%) △투기 과열지구·투기지역과 조정대상지역 지정(14.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효과가 있다’고 답한 전문가 중에선 40.7%가 가장 효과적 정책으로 ‘주택담보대출 한도와 건수 등 규제 강화’를 꼽았다. 반면, 분양가상한제 강화(7.0%)와 임대사업 등록 활성화(7.0%)는 시장안정에 전혀 효과가 없었다고 평가했다.

향후 부동산정책 방향에 대해선 일반인들은 대체로 규제 강화에 무게를 뒀다. 특히 강화할 정책으로, △다주택자 양도소득세 강화(63.7%) △분양권 전매제한 강화(58.7%) △투기과열지구·투기지역과 조정대상지역 지정(58.6%) 등을 꼽았다.

반면 전문가들은 정부의 부동산정책이 ‘지금 정도가 적당하다’는 응답이 우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분양권 전매제한을 강화해야 한다’는 응답률이 39.5%로 가장 높았고 반대로 ‘주택담보대출 한도와 건수 등은 완화해야 한다’는 응답률이 34.9%로 나타났다.

문성일 선임기자 ssamddaq@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주요뉴스

더보기

    부동산 이슈보기

    베스트토론

    더보기

      부동산 토론 이슈보기

      서비스 이용정보

      Daum부동산은 제휴 부동산정보업체가 제공하는 매물 정보와 기타 부동산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제휴 업체의 매물 정보를 비롯한 각종 정보 및 이와 관련한 거래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부담하지 않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Kakao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