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금융

부동산 메뉴

서울 A급 오피스 임대형 자산비율 지난해 80.9%.. 1년 새 4.7%P↑

서울 주요 권역 A급(연면적 1만평 이상) 오피스의 임대형 자산 비율이 80%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자체 사옥을 소유했던 기업들이 대거 부동산을 정리하고, 새 건물주가 이를 임대놓는 비중이 늘어났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글로벌 부동산서비스 기업 CBRE 코리아가 3일 발표한 ‘2019 서울 오피스 임차인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 주요 3개 권역(도심·여의도·강남) A급 오피스 자산 중 임대형 자산 비율은 80.9%로 전년 대비 4.7%포인트 증가했다. 전체 면적 중 임차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 비율도 2.4%포인트 상승한 68.9%로 나타났다.

금호아시아나 광화문사옥, 삼성물산 서초사옥, KB국민은행 명동사옥 등 잇따른 오피스 매각이 투자사의 구매와 리뉴얼, 임차로 이어지는 연쇄 작용을 불러일으킨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된다. 지난해부터 본격화된 ‘공유오피스’ 열풍으로 A급 오피스 내 공유오피스 비중이 증가한 것도 임차 면적 확대로 이어졌다.

A급 오피스 내 대기업 비중은 도심권역과 강남권역은 각각 1.4%포인트, 2.2%포인트 증가했으나 여의도권역은 일부 대기업의 타 권역 이전으로 6.2% 포인트 감소했다. A급 오피스 시장의 임차인 산업군은 금융 및 보험업이 36.4%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면적 비율은 전년 대비 2.1%포인트 증가했고, 여의도 권역에서는 5.5%포인트 상승했다.

임동수 CBRE 코리아 대표는 “대기업 금융 계열사의 업그레이드 수요 및 전략적 통합 이전 등으로 금융 및 보험업 점유율이 2년 연속 상승하고 있다”며 “제조업은 최저임금 인상 등의 영향으로 면적 비중이 전년 대비 평균 1.3%포인트 감소했다”고 말했다.

공유오피스가 차지하는 비율은 A급 오피스의 경우 지난해 말 기준 약 2.5%로 전년 대비 늘어났다. 강남권역 점유율이 3.3%로 가장 높아 인기 입지를 입증했고, 도심권역은 약 0.7%포인트 상승해 전년 대비 증가율이 가장 높았다. B급(연면적 1만평 미만) 오피스에서도 공유오피스의 성장세는 괄목할 만했다. 2017년 B급 오피스 임차 면적의 0.7% 수준에 불과했던 공유오피스 면적 비중은 전년 대비 두배 가까이 증가한 1.5% 점유율을 보였다.

최수혜 CBRE 코리아 리서치 팀장은 “특히 강남권역 B급 오피스 내 공유오피스 점유율이 2017년 1.6%에서 2018년 3.7%로 두 배 이상 성장하며 A급 오피스 시장 대비 B급 오피스 시장의 확장세가 두드러졌다”고 전했다. 강남권역이 3대 권역 중 A급 공실률이 가장 낮은 만큼 임차 가능한 면적에 제한이 있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공실 리스크를 해소하기 위한 저층부 리테일(소매점) 전환도 임차 확대에 영향을 미쳤다. B급 오피스 내 리테일 평균 비율은 15%로 전년 대비 1.3% 포인트 증가했다. 업계 관계자는 “매입한 건물의 리모델링을 통한 ‘밸류업’ 과정에서 저층부를 트렌디한 리테일 매장으로 채우는 경향이 많아 향후 임대형 자산 비율은 더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정건희 기자 moderato@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오늘의 주요뉴스

더보기

    부동산 이슈보기

    베스트토론

    더보기

      부동산 토론 이슈보기

      서비스 이용정보

      Daum부동산은 제휴 부동산정보업체가 제공하는 매물 정보와 기타 부동산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제휴 업체의 매물 정보를 비롯한 각종 정보 및 이와 관련한 거래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부담하지 않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Kakao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