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19년도 국가공간정보정책 시행계획’을 16일 발표했다. 공간정보는 공간을 구성하는 위치·경로·명칭 등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으며 스마트시티, 자율주행차, 드론 등 신산업 발전의 핵심 요소로 평가받고 있다. 정부는 이에 따라 올해 국가공간정보 구축과 활성화와 관련 778개 사업, 3,328억원의 예산을 투입할 계획이다. 지난해와 비교하면 7개 사업, 297억원의 예산이 늘었다.
정부는 우선 지하공간의 안전한 관리를 위해 상·하수도, 통신, 전력, 가스, 난방 등 지하구조물 15종의 정보를 담은 3차원 지하공간 통합지도를 제작한다. 현재 15개 시가 완료됐고 2020년까지 85개 시의 공간정보를 구축할 계획이다. 또 내년 발사할 예정인 국토관측 전용위성의 활용을 위해 국토위성센터도 10월까지 건립할 예정이다. 국토위성센터는 경기도 수원시 국토지리정보원 내 3층 규모로 들어선다.
그 밖에 양성단층 주변에 위성기반 정밀 상시관측소 5개소를 추가로 설치해 지각변동 감시도 강화하고, 국가공간정보센터와 관계기관의 시스템을 연계해 정보 공유가 원활히 이뤄지도록 할 예정이다. /강동효기자 kdhyo@sedaily.com
Daum부동산은 제휴 부동산정보업체가 제공하는 매물 정보와 기타 부동산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제휴 업체의 매물 정보를 비롯한 각종 정보 및 이와 관련한 거래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부담하지 않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Kakao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