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금융

부동산 메뉴

서울 홍대의 한 상권. /사진=김창성 기자
서울 홍대의 한 상권. /사진=김창성 기자
지난해 중대형상가 투자수익률 6.91%… 뜨는 상권 무조건 믿는 건 금물

정부의 주택시장 규제로 투자자의 목마름은 커졌다. 대체 투자처로 지목된 상가의 투자수익률이 높다는 소식이 들리지만 뜨는 상권도 임대료 상승과 경기 불황으로 폐업이 속출하고 있어 섣불리 다가서기 힘들다. 상가투자는 과연 믿을 만 할까.

◆수익률 상승에 관심집중

최근 상가 수익률이 타 투자 상품 못지않게 높은 수준을 보이자 목돈이 몰릴 조짐이다.

한국감정원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중대형 상가의 연간 투자수익률은 6.91%로 2017년(6.71%)보다 0.2%포인트 상승했다. 또 부동산 가격 상승분을 제외한 단순 임대료 수익률을 나타내는 연간 소득수익률도 4.27%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 아파트 매매가 상승률을 웃도는 수치다.

KB국민은행 주택가격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기준으로 1년 동안 전국 아파트 매매가는 3.02% 상승에 그쳤다. 즉 아파트를 1년 보유하는 것보다 상가를 1년 보유하는 게 더 수익률인 좋았던 셈.

상가는 기타 금융 상품에 비해서도 수익률이 높았다. 지난해 중대형상가가 연 4.27%의 소득수익률을 기록하는 동안 정기예금(1.81%), 국고채권(2.1%), 회사채권(2.65%) 등 금융 및 채권 상품은 수익률은 절반 수준에 그쳤다.
서울시내 한 역세권의 텅 빈 상가. /사진=김창성 기자
서울시내 한 역세권의 텅 빈 상가. /사진=김창성 기자
◆역세권 상가의 두 얼굴?

최근 상가가 대체 투자처로 각광받지만 주의해야 할 점도 있다. 상가는 주거와 달리 공식화된 투자법이 없고 변수도 많아 잘못 선택 시 큰 경제적 손해를 볼 수 있는 두 얼굴을 지녀서다.

그렇다면 상가 투자 시 어떤 점을 유의해야 할까.

우선 유동인구의 특성을 제대로 파악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유동인구는 상권의 수요나 내 상가 앞을 오가는 수요로 정도로 인식되지만 유동인구가 많아도 점포로 유입되지 않으면 매출 상승을 기대할 수 없다.

특히 역세권의 특성을 알아야 한다. 초보 투자자는 역과의 거리만 따지는 오류를 범한다. 하지만 역세권 상가라 해도 출구마다 상권 색깔이 다르고 소비인구 유입량도 다르다. 또 거주 수요만 실어 나르는 ‘무늬만 역세권’도 있다.

주거, 직장 등이 혼재되지 않는 베드타운 역세권이라면 집객력이 취약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조현택 상가정보연구소 연구원은 “수익형부동산의 대표격인 상가는 역세권, 편의시설, 학군 등의 여부로 판단하는 아파트 식 선별 방식으로 접근해서는 큰 낭패를 볼 수 있다”며 “상가는 세입자가 존재해야 되고 소비자는 세입자가 정한 업종을 이용하는 구도라 상가투자를 하려면 부동산 관점보다 상권의 특성을 우선 파악하고 분석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창성 기자 solrali@mt.co.kr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주요뉴스

더보기

    부동산 이슈보기

    베스트토론

    더보기

      부동산 토론 이슈보기

      서비스 이용정보

      Daum부동산은 제휴 부동산정보업체가 제공하는 매물 정보와 기타 부동산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제휴 업체의 매물 정보를 비롯한 각종 정보 및 이와 관련한 거래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부담하지 않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Kakao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