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대개조 지역으로 지정된 부산·울산·경기·전북·경남 등의 17곳을 포함한 전국 22개 산업단지가 입주기업들의 가치를 높이고 기반·지원·편의시설 등을 확충해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사업지로 본격 추진된다.
국토교통부와 산업통상자원부는 노후거점 산업단지 경쟁력강화위원회를 열어 지난해 3월 2021년 산업단지 대개조 지역으로 예비 선정된 5개 지역의 혁신계획을 보고하고 해당 지역 17곳을 비롯한 총 22곳의 산업단지를 경쟁력강화사업지구로 지정·의결했다고 30일 밝혔다.
![]() |
2021년 선정지역 혁신계획 주요 내용 / 자료제공=국토교통부 |
그 결과 2022년부터 2024년까지 3년 동안 일자리 창출 1만3448명(직접고용), 기업지원 4641건, 지원시설 구축 47개소의 추진목표를 도출했고 올해 2600억원 규모의 부처 협업사업 예산을 확보했다.
국토부와 산자부는 이들 22곳의 산업단지를 경쟁력강화사업지구로 공동 지정·고시했다. 지난해 선정지역의 17곳 산업단지와 2020년 선정지역(대구·인천·광주·전남·경북) 중 착공 후 20년이 지나지 않아 지정하지 못했던 5곳(대구 성서4·5차, 송도지식정보, 광주 빛그린, 김천1, 성주·성주2 산업단지)의 산업단지가 대상이다.
신유진 기자 yujinS@mt.co.kr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Daum부동산은 제휴 부동산정보업체가 제공하는 매물 정보와 기타 부동산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제휴 업체의 매물 정보를 비롯한 각종 정보 및 이와 관련한 거래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부담하지 않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Kakao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