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금융

부동산 메뉴

사진은 2019년 대구지방환경청이 대구 서구 평리동 염색산업단지 일원에서 이동측정차량·드론을 활용해 미세먼지 배출원을 추적하고 있다. 본 기사와 사진은 무관함. /사진=뉴시스
사진은 2019년 대구지방환경청이 대구 서구 평리동 염색산업단지 일원에서 이동측정차량·드론을 활용해 미세먼지 배출원을 추적하고 있다. 본 기사와 사진은 무관함. /사진=뉴시스

지난해 대개조 지역으로 지정된 부산·울산·경기·전북·경남 등의 17곳을 포함한 전국 22개 산업단지가 입주기업들의 가치를 높이고 기반·지원·편의시설 등을 확충해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사업지로 본격 추진된다.


국토교통부와 산업통상자원부는 노후거점 산업단지 경쟁력강화위원회를 열어 지난해 3월 2021년 산업단지 대개조 지역으로 예비 선정된 5개 지역의 혁신계획을 보고하고 해당 지역 17곳을 비롯한 총 22곳의 산업단지를 경쟁력강화사업지구로 지정·의결했다고 30일 밝혔다.


앞서 산업단지 대개조는 노후 산업단지를 경쟁력강화사업지구로 지정해 지역혁신을 선도하는 일자리 창출 거점으로 조성하기 위한 종합지원 정책이다. 부처 간 협업을 통해 2020년부터 매년 5개(2023년까지 총 15개) 내외 지역을 선정하고 있다.
2021년 선정지역 혁신계획 주요 내용 /
자료제공=국토교통부

정부는 지난 1년간 예비선정지역 5곳에 대해 전문가 컨설팅과 관계기관 협의를 거쳐 지자체가 제안한 혁신계획을 구체화하고 일자리위원회가 중심이 돼 예산 확보를 추진해 왔다.

그 결과 2022년부터 2024년까지 3년 동안 일자리 창출 1만3448명(직접고용), 기업지원 4641건, 지원시설 구축 47개소의 추진목표를 도출했고 올해 2600억원 규모의 부처 협업사업 예산을 확보했다.

국토부와 산자부는 이들 22곳의 산업단지를 경쟁력강화사업지구로 공동 지정·고시했다. 지난해 선정지역의 17곳 산업단지와 2020년 선정지역(대구·인천·광주·전남·경북) 중 착공 후 20년이 지나지 않아 지정하지 못했던 5곳(대구 성서4·5차, 송도지식정보, 광주 빛그린, 김천1, 성주·성주2 산업단지)의 산업단지가 대상이다.

국토부와 산자부는 일자리위원회와 함께 2020년·2021년에 선정된 10개 지역의 산업단지 대개조를 차질 없이 추진하기 위해 관계부처 협업체계를 공고히 하고 성과관리 체계를 마련해 사업 성과를 더욱 체계적으로 관리할 예정이다.

신유진 기자 yujinS@mt.co.kr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주요뉴스

더보기

    부동산 이슈보기

    베스트토론

    더보기

      부동산 토론 이슈보기

      서비스 이용정보

      Daum부동산은 제휴 부동산정보업체가 제공하는 매물 정보와 기타 부동산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제휴 업체의 매물 정보를 비롯한 각종 정보 및 이와 관련한 거래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부담하지 않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Kakao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