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덕도신공항 건설사업의 국가 정책적 추진이 확정됐다. 국토교통부는 '가덕도신공항 건설 추진계획'(이하 추진계획)이 국무회의에서 의결됐다고 26일 밝혔다. 이날 의결된 추진계획은 '가덕도신공항 건설을 위한 특별법'(이하 특별법) 제정에 따라 지난해 5월 착수한 '가덕도신공항 사전타당성 검토 연구용역'(사타) 결과를 토대로 했다.
해상공항 설립을 위한 총 사업비는 13조7000억원으로 책정됐다. 총사업비는 국내·외 해양매립 공항의 시공 사례와 현지 여건을 고려해 산정했다. 공사 예정지역은 육상은 동서로 폭이 좁고, 암석으로 이뤄진 산지 지형이다. 해상 부근은 파도와 연약지반 등이 고려사항이다.
이 중 활주로 남북배치안 3개는 인근 인구밀집지역에 소음 피해가 발생함에 따라 24시간 운영이 어렵고, 인근 공항과의 상호 운영·안전에 부정적인 영향이 있다는 이유로 제외했다. 남은 동서배치 2개안 중 해상 배치안이 평가우위를 차지했다. 사업비가 육상~해상에 걸치는 방안 등과 큰 차이가 없고 장래 확장성이 용이하며, 부등침하 우려가 적고 절취된 산지를 배후부지로 활용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이 긍정적으로 평가됐다.
다만 해상공항 추진 시에는 향후 가덕수도와 정박지 이전 문제가 해결할 과제로 남았다. 대형 선박의 최대 높이(2.4만TEU급, 76m)를 기준으로 정박지 이전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정박지 이전 방안은 해양수산부 등 관계기관과 지속 협의할 예정이다. 활주로 길이는 국적사 화물기(B747-400F)의 최대이륙중량 기준의 이륙 필요거리(3480m)를 고려해 3500m로 검토했다.
가덕도신공항 건설사업은 후속 절차인 기본계획, 설계 등을 거칠 예정이다. 국토부는 상세한 지반조사와 최신 공법 적용, 최적 입찰방식 검토·도입 등을 통해 사업비, 사업기간 등을 구체화 할 방침이다.
노형욱 국토교통부 장관은 "이번 국무회의 의결은 가덕도신공항 건설사업에 대한 정부의 흔들림 없는 추진 의지를 보여주는 것"이라며 "안전을 최우선 가치로 차질 없는 사업 추진에 가능한 모든 지원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Daum부동산은 제휴 부동산정보업체가 제공하는 매물 정보와 기타 부동산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제휴 업체의 매물 정보를 비롯한 각종 정보 및 이와 관련한 거래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부담하지 않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Kakao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