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금융

부동산 메뉴

서울 강남권의 오피스 공실률이 역대 최저로 나타났다. 사업주들 사이에서 "사무실 구하기가 하늘의 별따기"라는 말이 나오는 가운데 신규 오피스 공급도 부진해 이 같은 현상은 한동안 지속될 전망이다.

22일 한국부동산원의 1분기 상업용부동산 임대동향조사를 보면 서울 강남권역 오피스 공실률은 5.6%로 조사됐다. 이는 2013년부터 해당 통계가 작성된 이래 최저치다. 강남권역 오피스 공실률은 지난해 1분기부터 네 분기 연속 하락 중인데 올해 1분기는 지난해 4분기에 비해 1% 줄어 급격히 하락했다. 강남권역 중에서도 핵심으로 꼽히는 테헤란로는 5.1%, 도산대로는 4.5%로 나타났다.

민간 통계에선 훨씬 더 낮은 수치를 보인다. 교보리얼코의 1분기 오피스 마켓리포트에 따르면 강남권(GBD, 강남·서초구) 오피스 공실률은 0.61%로 조사됐다. 한국부동산원 조사가 서울 오피스 404개동을 대상으로 하는 반면 교보리얼코는 서울 953개동, 강남권에서만 391개동을 대상으로 조사하고 있다. 해당 통계에서도 지난해 1분기부터 연속 하락 추세다.

오피스 품귀 현상과 맞물려 임대료도 오를 조짐이다. 한국부동산원 통계에 따르면 1분기 강남권역 평균 임대료는 ㎡당 2만3400원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2년 만에 상승이다. 교보리얼코 통계에 따르면 ㎡당 2만6400원으로 역시 지난 분기 대비 0.67% 상승했다.

전문가와 업계 관계자들은 이 같은 현상이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신규 공급이 어렵기 때문이다. 박합수 건국대 부동산대학원 겸임교수는 "건설사들 입장에선 공급에 나설 타이밍이지만 강남권에 신규 부지 자체를 찾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했다. 교보리얼코에 따르면 올 1분기 신규 공급된 오피스 연면적은 약 1만9000㎡ 이며 2분기엔 5만4000㎡으로 늘어날 전망이지만 지난해 1분기 29만㎡, 2분기 7만5000㎡과 비교하면 적은 수준이다.

치솟는 땅값 역시 걸림돌이다. 한국부동산원 월별 지가동향 중 이용상황별 지가변동률을 살펴보면 4월 서울의 상업용 대지의 가격상승률은 0.391%로 나타났으며 3월부터 주거용 대지의 상승률을 앞지르기 시작했다. 한 시행사 관계자는 "서울에 오피스 사업을 검토했으나 높은 지가로 사업성이 나오지 않아 보류한 상황"이라고 전했다.

[이석희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주요뉴스

더보기

    부동산 이슈보기

    베스트토론

    더보기

      부동산 토론 이슈보기

      서비스 이용정보

      Daum부동산은 제휴 부동산정보업체가 제공하는 매물 정보와 기타 부동산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제휴 업체의 매물 정보를 비롯한 각종 정보 및 이와 관련한 거래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부담하지 않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Kakao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