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내 근린생활시설 등 상가의 경우 일부 지역에서 매매가격이 소폭 떨어지는 조정국면이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올해까지는 서울 핵심지구의 오피스 빌딩 매매가격은 임차 수요가 여전히 높기 때문에 보합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기준금리가 크게 오르면서 강남과, 도심, 여의도에서 공실을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호황인 임대차 시장도 거래에 악영향이 우려된다. 경영난을 겪거나 투자를 제때 받지 못한 기업들이 늘면서 오피스 수요가 꺾일 수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업무·상업용 부동산 임차 및 매매 모두 50% 이상 대출을 통해 자금을 마련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보니 금리 부담으로 거래는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도심권역(CBD), 여의도권역(YBD), 강남권역(GBD) 빌딩은 수요가 높아 거래 및 매매가격이 상승하는 분위기지만 이를 제외한 지역은 조정국면에 들어갈 수 있다는 것이다. 류강민 알스퀘어 리서치센터장은 “금리 인상에 따른 경기 둔화와 설비 투자 감소로 오피스 수요 증가가 둔화될 수 있다"며 "임차사가 운영비용을 줄이기 위해 서울 핵심권역에서 상대적으로 임대료가 저렴한 서울 기타 권역으로 이전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서울 업무·상업용 부동산 거래가 줄어든다고 해서 매매가격이 하락 국면에 접어들 가능성은 낮다고 분석했다. 임대차 계약기간이 있기 때문에 금리인상에 따라 바로 부동산 임대료 등이 영향을 받지도 않기 때문이다. 반면 50억원 이하 꼬마빌딩 경우 금리 부담에 시세 보다 떨어진 급매 물량이 일부 나올 것으로 봤다. 대출 이자 부담이 커졌기 때문이다.
서울 업무·상업용 빌딩 임대료가 대폭 오르진 않을 전망이다. 일반적으로 금리가 오르면 빌딩 임대사 입장에서 이자 부담을 임차사에 전가하기 위해 임대료를 올리지만 물가 상승, 코로나19에 따른 경기둔화로 임차사의 사정이 열악한 상황이기 때문이다. 임차사가 임대료를 부담할 여유가 없다는 것이다. 우병탁 신한은행 부동산팀장은 “빌딩은 금리영향 외에도 지역적 상권의 특성상 편차가 크게 나타난다”며 “상업용 부동산 임대료는 공실률의 영향을 받는다”고 말했다.
#거래절벽 #상업용 부동산 #오피스 #기준금리인상 #빅스텝 #도심권역
Daum부동산은 제휴 부동산정보업체가 제공하는 매물 정보와 기타 부동산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제휴 업체의 매물 정보를 비롯한 각종 정보 및 이와 관련한 거래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부담하지 않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Kakao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