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금융

부동산 메뉴

붕괴징후 감지하면 LED 점등…신속 대응 가능
현장에 설치된 반딧불 센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제공]
현장에 설치된 반딧불 센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제공]

(서울=연합뉴스) 김치연 기자 = 한국건설기술연구원(건설연)은 지반과 구조물의 붕괴 징후를 감지하는 스마트 감지 센서(반딧불 센서)와 원격으로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한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반딧불 센서는 꽁무니에서 빛을 내는 반딧불처럼 지반 이동을 발광다이오드(LED) 경보로 나타내는 센서다. 지반 이동에 따른 사면 붕괴, 건축물 붕괴를 직관적으로 감지해 즉각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을 찾고자 개발됐다.

이번 기술은 건설연 연구소 1호 기업인 ㈜재난안전기술과 국내 벤처기업 ㈜엠테이크가 공동 개발했다.

지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기존 계측 시스템은 가격이 비싸고 복잡한 전문가용이라는 점 때문에 활용이 높지 않았다. 이번에 개발된 반딧불 센서는 설치가 간편하고 기존 센서보다 비용이 절감된다는 장점이 있다.

붕괴가 우려되는 다양한 위험 구역에 반딧불 센서를 1~2m 간격으로 손쉽게 부착하고, 붕괴 징후가 감지되면 LED 점등으로 경보 알람이 발생한다.

이 경보는 주간 시간대에 100m 거리에서도 맨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고효율 광전송 렌즈 기술로, 현장 관리자와 작업자가 쉽게 알아볼 수 있다.

현장 경보 알람과 함께 상황실에서도 원격으로 실시간 현장 상황을 파악해 관계 기관에 위험 상황을 공유하는 등 추가 조치를 할 수 있다.

반딧불 센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제공]
반딧불 센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제공]

또 설치가 간편해 기존 계측 센서의 설치·운영비와 비교하면 50% 이상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유지관리 측면에서도 초 저소비전력 설계로 센서 건전지 교체 없이 1년간 운영할 수 있다.

현재 반딧불 센서는 제주도 용암 동굴, 인천시 정수장과 하수처리장, 일반국도변 절토 사면과 산지 비탈면, GTX-A 노선 중 킨텍스 역사 구간, 대전시와 전남 담양군 아파트 건설 현장, LG 화학공장 등에 시범 설치돼 운영 중이다.

김병석 건설연 원장은 "현재 계측 기술은 분석과 해석에 따른 대응에 많은 시간이 소요돼 현장의 붕괴 상황에 신속하게 대응하는 데 한계가 있다"며 "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이번 기술은 붕괴 사고 예방과 대응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chic@yna.co.kr

(끝)

▶제보는 카톡 okjebo

오늘의 주요뉴스

더보기

    부동산 이슈보기

    베스트토론

    더보기

      부동산 토론 이슈보기

      서비스 이용정보

      Daum부동산은 제휴 부동산정보업체가 제공하는 매물 정보와 기타 부동산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제휴 업체의 매물 정보를 비롯한 각종 정보 및 이와 관련한 거래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부담하지 않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Kakao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