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30일자로 다음 부동산 서비스가 종료됩니다.
그동안 서비스를 이용해주신 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리며 종료 관련 자세한 사항은 아래 공지사항 자세히 보기를 통해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그동안 다음 부동산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공지사항 자세히 보기 오늘 하루 보지 않기■ 재테크 노하우 100분 머니쇼 '하우머니' - 송승현 도시와경제 대표
#1. 집값 하락 vs. 전세 상승
Q. 먼저 부동산 시장 전반 보겠습니다. 집값 하락세라고 평가하기도 무색하게 좀처럼 매매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합니다. 전국적으로 거래 절벽이 점점 더 심해지고 있다는 이야기가 나와요?
- 짙어지는 관망세 '거래 절벽' 어디까지?
- 전국 아파트값 12주·서울 아파트값 11주 연속 하락
- 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 0.04% 하락…낙폭 축소
-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0.03% 하락…수도권 -0.04%
- 좀처럼 내리지 않는 호가…쌓이는 서울 아파트 매물
- 서울 아파트 매물 수 8만 건 육박…매수자 관망 지속
- 서초·송파·광진·강남 3개월 전 대비 매물 큰 폭 증가
- 1월 서울 아파트 거래 1,937건…지난해 12월 1,826건
- 올초 아파트값 상승세 지역, 호가 올려 다시 매물로
- 매수자들, 경기 불황 우려에 매입 나서지 않고 관망
- 전문가들 "급매물 늘지 않는 이상 가격 급락은 아직"
- 가격 소폭 하락 속 거래량 감소…"향후 예측 힘들어"
Q. 그런데 서울 분위기는 조금 다른 것 같습니다. 설 연휴를 끝내고 거래량이 늘어날 거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는데요. 일단 1월 거래량은 전달에 비해 늘었어요?
- 조금씩 움직이는 서울 아파트, 전망은?
- 1월 서울 2,023건 매매 계약 신고…3,000건 육박 전망
- 정부 각종 부동산 규제완화 효과…급매물 중심 거래
- 상대적으로 큰 폭 하락 지역 위주 거래량 증가 폭 커
- 도봉, 1년간 하락 폭 최대…거래 전월대비 두 배 증가
- 강남3구 중 송파 집값 최대 하락…거래량 139→155건
- 특례보금자리론 소진 이후 위축…봄 이사철 앞두고 증가
- 지난달 신생아 특례대출 출시…"2월 거래량 지켜봐야"
- 급매물 중심 거래 증가…"하락세 잠잠, 상승 전환 어려워"
Q. 전국적으로는 매물이 쌓이는데 서울은 거래량이 늘었다는 건데요. 결국 부동산 양극화가 심해지고 있다는 겁니다. 서울 내에서도 지역에 따라 집값 폭이 점점 더 커지고 있어요?
- 강남 1채 값이면 강북 5채…집값 초양극화?
- 서울 평균매매가격 12억 8,359만 원…서초 가장 비싸
- 집값 최저 도봉구 6억 2,797만 원…금천·강북 등 잇따라
- '지역별 양극화' 서초 아파트 1채면 도봉 약 5채 가격
- 2020년 서초-도봉 가격 차 4배…3년여 만에 5배 격차
- 강남권, 집값 급등기 빠른 상승…조정기엔 낙폭 적어
- 지역·자산별 양극화 심화…강남권 '똘똘한 한 채' 선호
- '영끌족' 수요 몰렸던 강북권, 이자 부담에 집값 하락
- 빠른 인구 감소 초양극화 현상 심화…"소득 따라 좌우"
- 서울 전역 고가 단지 등장…지역 내 상품 양극화도 우려
Q. 거래가 늘고 있다고 해도 당장 집값에 영향이 있을지는 두고 봐야 할 것 같습니다. 문제는 임대 시장인데요. 전셋값 상승세가 좀처럼 멈추지 않고 있어요?
- 심상찮은 서울 전셋값 상승세, 시장 분위기는?
- 서울 아파트 하락세 지속…전셋값 불안한 '고공행진'
- 부동산원 "신학기 이주 등 수요 증가…상승세 지속"
- 서울 아파트 전세가격 0.05% 상승…상승 폭은 축소
- 짙은 관망세에 전세 수요 증가…갱신 계약도 한몫
- 전세 매물 감소세…서울 매물 전년대비 33.6% 감소
- 당분간 전세 상승세 전망…금리 인하→수요 증가 예측
- 입주 물량 감소 전셋값 '자극'…"집값 반등도 쉽지 않아"
Q. 문제는 전세가율이 오르고 있다는 겁니다. 그동안 전세사기로 주춤하던 전셋값이 오르면서 갭투자도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는데요. 새롭게 전세 계약하시는 분들은 주의해야 할 수준인가요?
- 전셋값 상승에 갭투자 '꿈틀'…주의 사항은?
- 전셋값 오르는데 매맷값 하락…아파트 전세가율 상승
- 지난해 12월 전국 아파트 평균 전세가율 66.8% 기록
- 서울 아파트 전세가율 53.7% 수준…다섯 달째 상승
- 일부 전세가율 70% 육박…갭투자 우려 '슬금슬금'
- 전문가들 "전세가율 올랐어도 아직 높은 수준 아냐"
- 입주 물량 줄며 전셋값 불안…전세가율 상승 우려
- 아파트 전세가율, 70% 육박시 갭투자 '악몽' 우려
#2. 분양 시장 상황
Q. 올해는 강남권 재건축 단지 분양이 연이어 기다리고 있는데요. 이른바 로또 아파트라고 불리면서 청약자들이 대거 몰리고 있습니다. 서울 서초구 메이플자이 청약에 이틀간 5만 명 가까이 청약 신청했어요?
- "이번 기회에 강남"…메이플자이 청약 성적은?
- 메이플자이 지난주 청약 진행…경쟁률 442대 1 '흥행'
- 메이플자이 1순위 청약 81가구 모집 3만 5,828명 신청
- 강남 '한복판' 입지에 시세차익 기대 덕에 수요 몰려
- 49A형 28가구 모집…1만 5,954명 몰리며 569.79대 1
- 메이플자이, 신반포 8·9·10·11·17차 단지 통합 재건축
- 3.3㎡당 평균 분양가 6,691만 원…59㎡ A형 17.42억 원
- 비싼 분양가에도 청약 수요 '쏠림'…인근 대비 저렴
- 강남3구, 분상제·HUG 심사 적용…시세 이하 분양
- 주요 학군에 교통까지 갖춘 강남3구…대기 수요 풍부
Q. 문제는 강남권만 북적인다는 겁니다. 서울을 제외하고는 전국에서 청약 미달 단지가 쏟아졌어요?
- 강남 빼면 '분양 한파'…쏟아지는 청약 미달?
- 지난달 아파트 청약 경쟁률 예년 비해 '반짝' 온기
- '메이플자이' 청약 수만 명…다른 곳은 '미달' 속출
- 1월 전국 1순위 195.1대 1…메이플자이 빼면 3.5대 1
- 서울·수도권 청약 경쟁률 상승…'착시 현상' 지적도
- 전문가 "지난달 여건 좋고 저렴한 분양 단지 영향"
- 서울 외 단지 '미달'…광명·수원 등 수도권도 '휘청'
- 더 심각한 비수도권…경북 울진·충남 홍성 청약 '0'
- 지난해 12월 미분양 7만 5,359호…10년 2개월 만 최대
#3. 재건축 곳곳서 내홍
Q. 정부가 재건축을 빠르게 시작할 수 있도록 패스트트랙까지 도입하겠다고 밝혔지만, 분위기가 확 달아오르는 것 같진 않아요. 실제 현장은 좀 다른가요?
- '안전진단 폐지' 발표 한 달…조용한 시장, 왜?
- 1·10대책 재건축 속도…'속도는 빠르게 문턱은 낮게'
- 준공 후 30년 초과 아파트 '패스트트랙' 도입 발표
- '안전진단 폐지' 법 개정 필수…野 반대 통과 불투명
- 정부 발표에도 시장 '냉랭'…아파트값 하락세 여전
- 일부 지역 오히려 매물 더 쌓여…"전화상담만 늘어"
- 실거주 의무 폐지 1년 가까이 공전…결국 폐기 수순
- 정부 발표 믿고 분양받아…이사도 못 가고 '발 동동'
- 전문가들 "정부 정책 확정 움직이자는 기류 강해"
- 규제 완화돼도 고금리·고물가 '발목'…"사업성 없어"
Q. 강남권에서 대표적인 재건축 단지를 꼽자면 단연 은마아파트일 겁니다. 새로운 재건축 조합장이 선출되면서 재건축에 속도가 나는 듯하더니 또다시 멈춰 섰다는 소식이 들리더라고요?
- 또 멈춰선 '은마 재건축'…언제쯤 달릴까?
- '은마아파트' 무서운 가격 추락…재건축 조합 내홍
- 은마아파트 76㎡ 지난해 9월 24.4억→1월 23.7억
- 더 내려가는 호가…수요자들 관망세에 거래는 '뚝'
- 조합원 지위 양도 제한에 공급 한계 속 매물 적체
- 조합 내홍이 법정 다툼으로…집주인들 "재건축 포기"
- 고령층 집주인들 "가격 다소 깎더라도 집 좀 팔자"
- 법적 분쟁 장기화에 재건축 사업 저해 우려 목소리
- '재건축 패스트트랙'도 무용지물…은마는 대상 아냐
- 강남구, 작년 강남구 은마아파트 조합설립 이미 인가
Q. 은마아파트뿐만이 아닙니다 분담금이 무섭게 늘면서 재건축 사업 곳곳에서 내홍이 불거지고 있는데요. 재건축 메리트가 사라지면서 매물이 다시 늘고 있다고 합니다. 향후 재건축 시장, 어떻게 보시나요?
- 재건축 사업 곳곳 내홍…향후 전망은?
- 조합-건설사, 재건축·재개발 공사비 갈등 '점입가경'
- 자잿값 인상에 단지 고급화까지…비용 인상 불가피
- 공사비 인상에 조합 부담 '쑥'…재건축 추진 동력 '뚝'
- 신반포 18차 111㎡→97㎡ 줄어도 분담금 12.1억 추정
- 조합원들, 과도한 분담금 거부…비상대책위원회 결성
- 현대건설, 반포주공 1단지 조합 측에 공사비 증액 공문
- 반포주공 1단지 공사비 당초 2.6조→4조 원…착공 지연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시청하시기 바랍니다.)
Daum부동산은 제휴 부동산정보업체가 제공하는 매물 정보와 기타 부동산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제휴 업체의 매물 정보를 비롯한 각종 정보 및 이와 관련한 거래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부담하지 않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Kakao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