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안 주춤했던 경기도 내 ‘공시가격 1억 원 이하’ 아파트 거래가 다시 늘고 있다. 취득세가 중과되지 않아 다주택자와 법인의 먹잇감이 됐던 이들 아파트에 대한 거래는 지난해 말 국토부의 전수조사 엄포와 대출 규제 등으로 뜸하다가 최근 고개를 드는 모양새다. 전문가들은 차기 윤석열 정부에서 취득세 중과가 완화될 경우 틈새 수요가 줄어들 수 있다며 투자에 주의할 것을 경고했다.
6일 부동산 빅데이터 업체 아실(아파트실거래가)에 따르면 올해 경기도 매매 거래량 1~4위 아파트는 모두 공시가격 1억 원 이하 단지들인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 안성시 공도읍 ‘주은청설’의 경우 올 들어 1~4월 총 128건의 매매 거래가 이뤄지며 거래량 1위를 차지했다. 특히 1월 거래량은 17건에 불과했으나 지난달에는 52건으로 3배 이상 급증했다. 주은청설은 대표적인 공시가격 1억 원 이하 아파트로 부각되면서 지난해 558건이 거래돼 전체 가구 수(2295가구)의 4분의 1가량이 손바뀜된 바 있다.
이어 인근 ‘주은풍림(2615 가구)’이 올해 1~4월 108건, 이천시 대월면 ‘현대전자사원(1110 가구)’이 75건, 평택시 세교동 ‘부영(1590 가구)’이 64건 각각 거래됐다. 해당 단지들의 1월과 4월 매매 거래량을 비교해보면 주은풍림 21→38건, 현대전자사원 7→29건, 부영 7→19건으로 크게 늘었다.
이 같은 거래량 순위에서 특이 거래로 판단되는 경기 화성시 향남읍 ‘제약공단’ 아파트는 제외했다. 해당 아파트를 소유한 아시아신탁주식회사가 지난달 10일 오랫동안 폐허로 방치됐던 아파트를 통째로 매각하면서 125건의 매매 거래가 이뤄졌다.
경기도 매매 거래량 1~4위 아파트에서 주로 거래된 매물들은 올해 기준 공시가격이 1억 원 이하인 소형 아파트들이다. 같은 단지더라도 전용면적이 넓어 1억 원을 넘는 매물은 거의 거래되지 않았다.
앞서 정부는 2020년 7·10 대책을 발표하며 법인과 다주택자의 주택 취득세율을 최고 12%로 높이면서도 실수요자 보호 차원에서 공시가격 1억 원 이하 주택은 배제했다. 보유 주택 수에 관계없이 취득세가 기본세율 1.1%로 동일하다 보니 다주택자·법인들의 매수세가 몰리면서 오히려 가격이 급등하는 부작용이 발생했다.
이에 국토부는 지난해 11월 뒤늦게 법인·외지인을 대상으로 한 공시가격 1억원 이하 주택 거래 전수조사 방침을 밝혔다. 여기에 지난해 말부터 강력한 대출 규제까지 겹치며 전체 매매 수요가 줄어들었고 공시가격 1억 원 이하 아파트의 거래도 주춤했다.
하지만 최근 대출 규제 완화와 집값 상승 기대감에 공시가격 1억 원 이하 아파트 거래량이 다시 증가하고 있다. 경기도 23개 시 전역에 대해 지정됐던 외국인·법인 토지거래허가구역이 이달 1일부로 1년 반 만에 해제된 것도 관련 투기 수요를 부채질할 수 있는 요인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주은풍림 인근 공인 중개 사무소 관계자는 “3월부터 매수 문의가 조금씩 늘더니 이달부터 투자 문의가 더 늘고 있다”고 귀띔했다.
거래가 다시 증가하면서 이들 단지의 매매가격도 다시 전 고점을 향해 오르고 있다. 주은청설 전용면적 40㎡(올해 공시가격 7499만 원)의 월 평균 매매 거래 가격은 지난해 10월 1억 4619만 원으로 최고점을 기록한 뒤 12월 1억 2850만 원으로 떨어졌다가 지난달 1억 4158만 원으로 회복했다. 주은풍림 전용 39㎡도 지난해 11월 평균 1억 4000만 원에 거래됐다가 올 1월 1억 1983만 원으로 하락한 후 지난달 1억 3186만 원으로 반등했다.
이들 단지는 전셋값과 매매가격의 차이가 1000만~3000만 원에 불과해 소위 ‘갭 투자(전세 끼고 투자)’ 방식으로 매매가 이뤄진다. 실제로 아실에 따르면 최근 3개월 갭 투자 매매 거래 증가 지역은 1위 경기 평택시(174건), 2위 경기 시흥시(83건), 3위 경기 안성시(61건)로 공시가격 1억 원 이하 아파트들이 많은 지역이 차지했다.
평균 전세가율(매매가격 대비 전세 가격) 80%를 웃도는 곳이 많아 ‘깡통 전세’ 우려도 나온다. 6일 기준 이달 주은청설 40㎡의 평균 전세가율은 85.9%, 주은풍림 39㎡는 88.6%에 달한다. 현대전자사원 59㎡의 평균 전세가율은 올 3월 88.9%을 기록했다가 이달 75.4%로 소폭 하락했다. 부영은 이달 평균 전세가율 75.9%를 기록했다.
전문가들은 투자에 주의하라고 경고했다. 윤지해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공시가격 1억 원 이하 단지들은 취득세 중과에 따른 틈새 수요가 몰리며 가격이 급등했던 것인데 차기 정부에서 취득세 중과 완화 방침을 밝힌 만큼 수요가 떨어질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Daum부동산은 제휴 부동산정보업체가 제공하는 매물 정보와 기타 부동산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제휴 업체의 매물 정보를 비롯한 각종 정보 및 이와 관련한 거래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부담하지 않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Kakao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