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희승 코레일(한국철도공사) 사장이 사면초가에 놓였다. 주무부처인 국토교통부가 이달 중 나 사장 해임을 공식화한 데 이어 여당 역시 자진사퇴를 촉구하는 등 다각도로 압박하는 가운데 야당도 감싸지 않는 기류가 감지되는 모습이다.
나 사장은 임기가 아직 2년 가까이 남은 만큼 법적 대응을 검토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여야의 관심권에서 밀려난 이상 조직 장악 등 리더십 타격이 불가피하다는 관측이 나온다.
7일 머니투데이 취재를 종합하면 국토부는 '나 사장 해임 건의안'의 공운위(공공기관운영위원회) 상정 여부를 놓고 기획재정부와 협의에 착수했다. 이는 지난달 30일 원희룡 국토부 장관이 "지난해 발생한 각종 철도 안전사고 책임을 묻기 위해 나 사장의 해임 절차를 밟고 있다. 2월 중 결론이 날 것"이라고 밝힌 것에 따른 후속조치 격이다.
나 사장은 문재인 정부 당시인 2021년 11월 임명됐다. 광주 출신으로 1997년 한국철도기술연구원에 입사한 뒤 남북철도사업단장, 대륙철도연구실장 등을 거친 내부 발탁 인사다. 그러나 윤석열 정부 출범으로 나 사장의 입지가 흔들리기 시작했다. 특히 작년에만 4건의 사망사고로 국토부로부터 역대 최대인 18억원의 과징금을 부과받은 게 결정타가 됐다.
나 사장은 자신의 해임 등 최악의 시나리오를 고려해 행정소송 등을 준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더불어민주당은 관망모드 속 오히려 선긋기를 하려는 모습이 엿보인다.
국회 국회교통위원회 소속 한 야당 의원은 "나 사장 관련 야당 상임위원들 차원에서 논의하고 있는 것은 전혀 없는 것으로 안다"고 했다. 또 다른 민주당 의원도 "나 사장과 전현희(국민권익위원장)와는 케이스가 다르다"고 말했다.
야당의 이같은 반응은 코레일이 각종 안전사고로 국민적 신뢰가 낮은 상황에서 자칫 '나 사장 구하기'에 나섰다간 역풍을 맞을 우려를 고려한 판단으로 해석된다. 특히 정국이 민주당에 불리하게 돌아가는 상황임을 감안하면 코레일 이슈는 우선순위에서 밀릴 수밖에 없다.
사장 거취 문제로 코레일에 대한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는 것 아니냐는 목소리도 나온다. 나 사장은 올해 시무식에서 "안전 강화를 통해 국민신뢰를 회복하겠다"고 밝혔으나 내부는 뒤숭숭한 분위기다.
이와 관련, 머니투데이는 나 사장에게 여러 차례 전화를 걸었지만 연락이 닿지 않았다. 코레일 관계자는 "입장을 밝힐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고 전해왔다.
이정혁 기자 utopia@mt.co.kr, 오문영 기자 omy0722@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Daum부동산은 제휴 부동산정보업체가 제공하는 매물 정보와 기타 부동산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제휴 업체의 매물 정보를 비롯한 각종 정보 및 이와 관련한 거래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부담하지 않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Kakao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