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부동산 규제를 완화하면서 수도권의 거래량은 회복되고 있지만 지방은 여전히 침체한 분위기가 이어지고 있다.
21일 주택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아파트 입주율은 63.3%로 지난 1월 66.6%보다 3.3%p 하락했다.
서울이 79.2%에서 79.7%로, 인천·경기가 73.2%에서 75.8%로 각각 입주율이 오르면서 수도권은 75.2%에서 77.1%로 전월대비 1.9%p 상승했다.
반면 5대 광역시는 65.8%에서 60.6%로 5.2%p 하락했고, 기타 지역도 63.9%에서 60.1%로 떨어졌다.
미입주 원인 중에는 ‘기존 주택 매매 지연’이 41.7%에서 44.4%로 상승했다. 세입자 미확보(39.6%→33.3%), 잔금대출 미확보(14.6%→14.3%), 분양권 매도 지연(4.2%→1.6%) 등은 비중이 모두 소폭 줄었다.
아파트분양전망지수는 전국기준 73.6으로 지난달 대비 2.5p 상승했지만 여전히 100 밑으로 부정적인 전망을 유지했다.
서울과 울산이 각각 20.3p(61.9→82.2), 20.6p(50.0→70.6)로 전망지수가 대폭 상승하면서 기대감을 높였다.
하지만 일부 지역의 회복세는 더딘것으로 나타났다. 경남이 지난 달 대비 16.1p(86.7→70.6) 떨어져 가장 크게 하락했고, 광주 8.6p(80.0→71.4), 강원 7.7p(76.9→69.2), 경북 7.6p(90.0→82.4), 제주 5.6p(77.8→72.2), 세종 4.1p(68.8→64.7), 충남 0.9p(84.2→83.3) 낮아졌다. 지방 중소도시의 분양시장이 빠르게 식고 느리게 회복되는 현상은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분양가격전망지수는 92.9로 지난달 대비 7.8p상승했지만 여전히 100을 넘기지는 못했다. 이는 1·3대책 이후 매수 심리가 다소 회복되고 있지만 연이은 미분양물량 증가 등 여전히 사업자들의 분양일정 확정에는 어려움이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분양물량 전망지수는 지난달 보다 7.8p오른 84.5를 기록했다.
Daum부동산은 제휴 부동산정보업체가 제공하는 매물 정보와 기타 부동산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제휴 업체의 매물 정보를 비롯한 각종 정보 및 이와 관련한 거래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부담하지 않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Kakao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