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전국 아파트값 하락률 1위를 기록했던 세종시는 1년8개월 만에 상승 전환했고 용인 처인구 일대는 '반도체 특수'로 하락폭이 크게 줄었습니다.
오늘(23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이번주 서울 아파트값은 지난주(-0.16%) 대비 0.15% 떨어졌습니다. 약세는 지속됐지만 낙폭은 6주째 감소세입니다.
지난달 급매물 거래가 크게 늘면서 싼 물건이 소진되고, 일부 호가가 오른 영향입니다.
서초구와 강동구 아파트값이 보합 전환했습니다. 이들 지역 아파트값이 하락을 멈춘 것은 서초구는 지난해 8월 둘째주, 강동구는 작년 6월 첫째주 이후 처음입니다.
이에 비해 강남구(-0.11%)와 송파구(-0.06%)는 지난주(-0.07%, -0.01%)보다 낙폭이 다시 확대됐습니다.
강북지역에서는 도봉구(-0.24%)와 강북구(-0.20%)는 지난주보다 낙폭이 줄었으나 노원구는 0.12% 내려 지난주(-0.10%)보다 하락폭이 커졌습니다.
지난달 급매물 거래가 많았던 지역을 중심으로 호가가 오르자 다시 매수문의가 감소하고 거래도 감소하는 분위기여서 서울 아파트값이 상승 전환할지는 금리 인상 여부 등 상황을 좀 더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경기도는 지난주 -0.50%에서 이번주 -0.47%로, 인천은 -0.48%에서 -0.35%로 낙폭이 둔화했습니다.
이 가운데 지난주 반도체 국가산업단지 후보지로 선정된 용인 처인구 일대는 부동산 가격 상승에 대한 기대감이 커진 가운데 아파트값 하락폭이 -0.02%로 지난주(-0.55%)에 비해 크게 둔화했습니다.
세계 최대의 반도체 클러스터를 조성할 것이라는 청사진에 집주인들이 매물을 거둬들이고, 호가를 올리고 있다는 게 현지 중개업소들의 설명입니다.
용인 수지구 역시 지난주 -0.43%에서 이번주 -0.29%로 하락폭이 줄면서 용인시 전체도 -0.38%에서 -0.26%로 낙폭이 감소했습니다.
전국 아파트값은 0.36% 내려 지난주(-0.41%)보다 하락폭이 줄었습니다.
지난해 아파트값이 전국에서 가장 많이 떨어진 세종시가 이번주 0.09%로 상승 전환해 눈길을 끌었습니다. 지난 2021년 7월 셋째주(0.05%) 이후 86주 간의 긴 하락세를 멈추고 1년8개월(87주) 만에 반등한 것입니다.
부동산원 관계자는 "부동산 규제완화 기조와 대출 금리 하향 조정 등으로 급매물이 소진되면서 상승 전환했다"며 "신혼부부나 특례보금자리론 수요가 많아 새롬·다정동 등 주요 단지 위주로 매수문의가 증가한 모습"이라고 말했습니다.
대구는 지난주 -0.40%에서 이번주 -0.37%로 하락폭이 둔화했습니다.
전국 아파트 전셋값은 지난주 -0.41%에서 이번주 -0.36%로 낙폭이 줄었습니다. 지난달 급전세가 일부 소화된 이후 오른 가격에 매물이 나와 있지만 이달 들어 거래가 크게 늘진 않는 모습입니다.
서울 아파트 전셋값도 0.41% 떨어져 지난주(-0.50%)보다 하락폭이 감소했습니다.
Daum부동산은 제휴 부동산정보업체가 제공하는 매물 정보와 기타 부동산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제휴 업체의 매물 정보를 비롯한 각종 정보 및 이와 관련한 거래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부담하지 않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Kakao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