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금융

부동산 메뉴

대전과 울산 집값은 극과 극


대중가요는 그 도시를 알리는데 큰 기여를 한다. 서울을 대표하는 대중가요는 서울의 찬가이고 부산은 부산갈매기, 대구는 비내리는 고모령(대구 수성구 만촌동에 있는 고개인 고모령), 인천은 연안부두, 대전은 대전부르스, 울산은 울산 큰애기, 목포는 목포의 눈물, 춘천은 소양강 처녀, 안동은 안동역에서를 들 수 있다. 광주는 1987년 만들어진 시민의 노래가 있는데 이와 별도로 부산갈매기와 같은 광주만의 대중가요를 만들기에 나섰다고 한다.


1955년 3월에 출시된 한국계 일본 가수 미소라 히바리의 '항구 13번지'라는 노래가 있다. 이 노래가 전국적으로 히트를 치자 큐슈나 오사카 지방에서 온 관광객들이 요코하마항에 내려 '항구 13번지'(노래 가사에 나오는 임의적 지명)로 가자고 해 택시 기사를 곤란하게 만드는 일이 많았다고 전해진다. 이토록 대중가요(미디어 포함)는 가끔 대단한 힘을 발휘하기도 한다. 이 대중가요를 부동산에 접목시켜 대전 부르스의 대전 집값과 울산 큰애기의 울산 집값에 대한 의견을 피력해 보겠다.


2013년 하반기부터 상승하기 시작한 서울 강남 집값의 뒤를 이어 지방에서는 대구 수성구 집값이 2014년부터 상승하기 시작했다. 대구 수성구 집값이 오르니 몇 년 뒤에 광주 남구 봉선동 집값이 상승했고 그 뒤를 이어 대전 서구, 유성구 집값이 상승했는데 대구, 대전, 광주 집값 상승을 두고 대대광이라는 부동산 신조어가 탄생했다. 대전 서구, 유성구 집값은 세종시 집값에 밀려 한때 침체를 면치 못했으나 세종시가 2017년 8월에 투기과열지구로 지정되자 풍선효과로 부상한 측면이 있다. 그러고 보면 집값 상승에는 다 때가 있는 모양이다.


‘대대광’ 대구, 대전, 광주 집값 상승을 살펴보면 각 도시의 강남이자 최고의 학군이라고 할 수 있는 대구 수성구, 대전 서구ㆍ유성구, 광주 남구 봉선동 위주로 올랐다. 대구는 수성구 집값이 오르는 동안 달서구 등지의 집값 상승폭은 미미했고 대전 역시 서구, 유성구 집값이 오를 때 동구 집값은 그곳의 상승폭에 미치지 못했다. 이런 현상을 보면 대한민국 내에서도 서울, 수도권, 지방 집값이 따로 움직이고 도시 내에서도 구에 따라 집값 움직임이 다르다. 정말 복잡하게 움직이는 대한민국 집값이다.


대전은 지리적으로 국토 중심부에 위치해 있고 대전하면 생각나는 게 대전역의 가락국수, 정부대전청사, 과학기술연구단지 등이다. 서울 한강 너머 강남이 개발되었듯이 대전은 갑천 너머 대전의 강남인 유성구가 개발되었다. 대전의 최고 주거지는 빼어난 학군을 자랑하고 정부대전청사, 대전시청이 있는 서구 둔산동이지만 갑천 너머 대전의 강남인 유성구가 개발되면서 유성구도 부촌의 대열에 들어섰다.


대대광 집값을 선도하는 구는 빼어난 학군을 자랑한다. 서울이 최고의 주거지, 빼어난 학군인 강남구 위주로 집값이 오르다 보니 지방도 지방의 강남, 빼어난 학군 위주로 집값이 오르는가 보다. 14일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대전 아파트값은 올 1~10월 5% 상승하면서 6대 광역시 중 유일하게 플러스 변동률을 기록했다. 울산(-4.58%), 부산(-3.27%), 대구(-0.54%), 광주(-0.51%), 인천(-0.48%) 등은 모두 하락했다.


지방에선 대전부르스 집값이 가장 큰 상승률을 기록했다. 현재 대전 집값이 최고의 상승률을 기록하고 있지만 대전 집값은 대전 부르스 노래 가사처럼 언제 '잘있거라 나는 간다 이별의 말도 없이'가 될지 모른다. 그 동안 대전 집값이 폭등했고 최근 울산 남구와 부산 해운대구, 수영구, 동래구 집값이 급부상해 지방 집값 상승 주도권을 넘겨줄지도 모른다. 대전은 2020년 이후 어림잡아 2만5000가구 이상 아파트 입주 물량이 쏟아지는 게 악재다. 산이 높으면 골이 깊고 골이 깊으면 산이 높은 게 인생 살이, 부동산 살이가 아닌가.


대대광과 함께 또 하나의 지방 부동산 신조어가 탄생했는데 바로 부울경이다. 대대광과 부울경 집값 상승은 극과 극을 달린다. 대대광과 부울경 집값은 서로 가는 길을 달리하는데 올 1~10월 지방 집값 상승률을 보면 대대광 중 대전만 지방광역시 최고의 집값 상승률을 기록할 뿐 대구, 광주는 하락한 것이 특이한 점이다.


부울경 중 울산 집값이 올해 들어 가장 먼저 상승했는데 조선 경기 호황으로 오랜 침체를 벗어나 9월부터 집값이 뛰기 시작했다. 최근 울산 집값이 오르는걸 보면 울산 큰애기 노래 가사처럼 '상냥하고 복스런 울산 큰애기'가 될지도 모른다. 울산은 2012년 기준 1인당 소득이 1884만원으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고 2위와 3위는 서울과 부산이 각각 차지했다. 2017년 1인당 소득은 서울이 2224만원으로 가장 높았고 울산은 2196만원으로 2위를 차지했다. 울산은 조선업 구조조정 영향으로 2위로 내려앉았다. 그 외에 현대차, 현대중공업 울산 공장이 있고 울산 장생포항은 고래 잡이로 유명하다.


1인당 소득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조선 경기의 불황으로 2016년 이후 집값이 폭락했는데 최근 조선 경기가 살아나니 집값도 살아나고 있다. 울산 역시 대구, 대전, 광주의 집값 상승처럼 울산의 강남이자 최고 학군인 남구 위주로 집값이 살아나고 있다. 그러나 동구 집값은 침체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남구도 아파트 단지마다 다른 상승률을 보이고 있어 아파트를 매수하기 전에 충분한 조사와 분석이 필요하다. 1인 소득으로 보면 울산 집값이 상당한 수준에 올라가 있어야겠지만 그 동안 조선 경기 불황으로 침체를 면치 못했다. 그러나 최근 조선 경기가 살아나니 추락했던 울산 주택 경기에 훈풍이 불고 있다. 울산 큰애기가 살아나고 있다.


올 들어 전국 6대 광역시(부산, 대구, 광주, 대전, 울산, 인천) 가운데 대전 아파트값이 가장 높은 오름폭을 보이면서 부산 아파트값마저 추월할 기세이며, 울산 아파트값은 수년간의 침체를 벗어나 올 가을부터 상승세로 돌아섰다. 울산은 2018~2019년 입주 물량이 넘쳤으나 2020~2022년까지 입주 물량이 크게 줄어드는 호재가 있다. 올 1~10월 6대 광역시 중 대전 집값이 가장 많이 뛰었고 울산 집값이 가장 많이 하락했다. 극과 극을 달리는 대전과 울산 집값이다.


대전 집값은 당분간 상승세를 보이겠지만 언제 얼굴이 바뀔지 모르고 수년간 침체를 겪던 울산 집값은 상승세를 이어갈지 모른다. 앞으로 대전 부르스와 울산 큰애기 집값이 엇갈린 운명이 될지 두고 볼 일이다.


 


오늘의 주요뉴스

더보기

    부동산 이슈보기

    베스트토론

    더보기

      부동산 토론 이슈보기

      서비스 이용정보

      Daum부동산은 제휴 부동산정보업체가 제공하는 매물 정보와 기타 부동산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제휴 업체의 매물 정보를 비롯한 각종 정보 및 이와 관련한 거래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부담하지 않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Kakao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