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금융

부동산 메뉴

금리인상 불확실성 터널 빨리 지나야
끝나지 않는 파티는 없다. 저금리 유동성 파티가 언젠가는 끝날 줄 알았지만 막상 파티가 끝난 후 마주하는 현실은 냉혹하기만 하다.



5월까지만 해도 우크라이나 전쟁이 마무리가 될 것이고 유가와 곡물가격도 안정되면 인플레이션도 잡히겠지 이런 기대감이 있었다.



이런 막연한 기대감은 미국의 인플레이션이 8%가 넘으면서 산산이 부셔졌고 이제는 경제성장보다는 인플레이션이 최우선 과제가 되면서 미국의 기준금리는 자이언트 스텝(0.75%p)으로 올려 단숨에 우리나라와 동일한 1.75%가 되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는 올해 말까지 3.25~3.5%까지 올릴 수 있다는 예고를 하고 있다. 엎친데 덮친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연준의 내부자료를 인용해 최악의 미국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기준금리를 4~7% 올려야 한다는 보도까지 하고 있다.



한국은행은 금리인상을 하느냐 안 하느냐가 아니라 0.25%p냐 빅 스텝(0.5%p) 이냐 선택지만 남았다.

한번도 가본적이 없는 빅 스텝으로 갈 가능성이 높다. 왜냐면 미국이 다음 달에도 자이언트스텝으로 갈 가능성이 높아 한미간 금리역전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한미간 금리역전이 되면 한국에 유입된 투자자본 유출가능성이 높아진다.



글로벌금융위기 당시에도 금리역전이 되었지만 자금유출은 없었다고 반박의 목소리도 있는데 그때와 지금은 상황이 다르다. 그때 미국은 불 난 집이었고 우리나라는 불 구경하는 집이었다.



한국에 유입된 투자자본이 굳이 불이 난 미국으로 유출될 이유가 없었지만 지금은 우리나라도 3고1저(고금리, 고유가, 고환율, 저성장)의 불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어찌 되었건 올해 말까지 한국은행 기준금리도 3%까지는 가리라 각오해야 할 것 같다.



1금융권 주택담보대출금리가 5%를 훌쩍 넘어서면서 4%대 대출상품을 찾아보기 어려워 질것이다.

불과 2-3년 전만 하더라도 1-2% 금리는 흔했는데 어느새 옛날 이야기가 되어버렸다.



대부분 변동금리를 받은 상황에서 이렇게 대출금리 급등은 많은 부작용이 발생한다. 여기서 더 올라가면 감당하기 어려운 상황이 발생할 수 있어 한국은행은 금리역전이 되더라도 자금유출만 발생하지 않으면 기준금리 3%이상 올라가지 않도록 최대한 버텨볼 것이다.



자금유출이 생기면 어떻게 하냐고? 그런 최악의 상황까지는 고민하지 말자.



옛날 학창시절 체벌이 당연시되던 그 때 매 맞을 때 가장 두려웠던 것은 매 맞을 때까지 기다리는 그 순간이었으며 막상 매를 맞고 나면 오히려 속이 시원했다. 공포가 끝났으니까

지금은 금리인상에 대한 불확실성 공포가 빨리 마무리가 되어야 한다.



빨리 3%든 금리가 올라간 후 인플레이션이 잡혀서 당분간 올리지 않는다 라는 시그널이 나와야 투자심리가 비로서 안정될 것이다.



코인, 주식, 부동산시장 모두 한 배를 탔다. 비정상은 정상으로 가는 과정은 반드시 거친다. 그게 정상이니까 받아들여야 한다.



살 쪘다가 살 빼려면 인내도 필요하고 힘들듯이 지금은 마주해야 할 현실을 받아들이고, 두려워하기 보다 성난 파도가 가라앉을 때까지 위험관리를 잘 하면서 잘 버티는 것이 최선이다.

끝나지 않은 파티도 없지만 끝나지 않은 터널도 없다.



빨리 금리인상의 불확실성 터널이 지나가기를 기대해 본다.





김인만부동산경제연구소

 

오늘의 주요뉴스

더보기

    부동산 이슈보기

    베스트토론

    더보기

      부동산 토론 이슈보기

      서비스 이용정보

      Daum부동산은 제휴 부동산정보업체가 제공하는 매물 정보와 기타 부동산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제휴 업체의 매물 정보를 비롯한 각종 정보 및 이와 관련한 거래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부담하지 않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Kakao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