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금융

부동산 메뉴

신뢰를 쌓고 구체적인 내용 담아야 시장 신뢰
1기 신도시 특별법의 윤곽이 드러났다. 정확한 명칭은 ‘노후계획도시 정비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이다.



노후계획도시라는 새로운 용어가 등장하는데 정부는 택지조성사업 완료 후 20년 이상 경과한 100만㎡ 이상 택지라고 설명한다.



그런데 '20년'이라는 설명에 귀를 의심했다. 현행 도시 및 주거환경 정비법에 재건축 허용연한을 30년으로 하고 있는데 10년을 더 줄인 것이다.



1기 신도시 중 30년이 되지 않은 단지들이 혼재되어 있고, 미리 준비하고 계획하는 차원에서 20년으로 하는 것이라고 하지만 시대흐름에 역행한다.



지구를 위해 친환경이 더욱 더 중요해지는 요즘 20년 재건축 허용연한은 세계에서 유례를 찾아볼 수 없는 자원낭비다.



몇 년 전 일본 부동산법인과 미팅할 때가 생각난다. 한국은 준공 후 30년이 지나면 재건축 추진할 수 있다고 하니 깜짝 놀라면서 어떻게 그런 법이 있을 수 있나, 일본은 50년이 지나도 수선해서 사용하고 안전에 정말 문제가 있을 때만 개별적으로 다시 짓기도 한다고 말했다.



우리도 이제는 부수고 새롭게 짓는 정비사업에서 고쳐서 사용하는 방향으로 전환을 해야 하지 않을까?



아무튼 20년+100만㎡ 조건을 충족하는 택지는 1기 신도시(분당, 일산, 평촌, 중동, 산본)를 비롯하여 서울 여의도, 목동, 상계, 부산 해운대, 광주 상무지구 등 전국적으로 49곳 이상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100만㎡이하인 곳은 인접한 구도심과 연계하여 추진이 가능하다.



노후계획도시 재건축 추진방법은 국토교통부에서 기본방침을 정하고, 각 지자체에서 기본계획 수립 후 특별정비구역을 지정하면 각 단지에서 조합을 만들어 재건축을 진행한다.



특별법 혜택은 대상이 되는 곳은 30년이 아닌 20년부터 추진이 가능하고, 재건축 초기 관문인 안전진단을 더욱 완화해주고 공공성 확보 시 안전진단을 아예 면제해주겠다고 한다.



재건축 사업성에 가장 중요한 용적률은 최대 500%까지 상향해주고 리모델링 세대 수도 증가시켜 준다. 또 재건축사업 기간을 단축하기 위해 각종 인허가 통합심의를 하고, 이주단지 조성 등 이주대책도 지원하겠다고 한다.



노후계획도시 특별법은 2월 발의해서 내년부터 시행예정이라고 하는데 내년 국회의원 총선이 있는 만큼 국회통과 가능성은 높을 것 같다.



그래도 예상보다 빨리 특별법이 나온 만큼 부동산시장을 괜히 자극하지 않을까 걱정되는 마음에 분당신도시 현장을 찾아 확인해본 결과 생각과 달리 차분한 분위기였다.



“첫날에는 문의가 많았는데 문의로 그쳤고 큰 기대를 하지 않는다. 표심을 잡기 위한 정치적인 이유도 있어서 믿지 않는다, 해야 하는 것이고 하더라도 매우 오래 걸릴 것이다”



현장 부동산 사장님 말씀에서 현재 현장분위기를 느낄 수 있을 것이다.



특별정비구역으로 지정이 되어도 아무리 빨라야 10년이고 아마 추진해도 15년은 걸릴 것이다.

한꺼번에 추진할 수는 없기 때문에 단지, 블록 별 순환개발을 하면 20년 이상 생각해야 한다.



집값상승에 대한 기대감이 높은 분위기였다면 개발호재로 받아들이면서 난리가 났을 수도 있지만 금리인상의 불확실이 제거되지 않았고 매수자들은 초 급매물 아니면 여전히 비싸다며 관망하는 분위기이기 때문에 1기 신도시 특별법(노후계획도시 정비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영향은 찻잔 속 태풍에 그칠 가능성이 높다.



이제 시작인 만큼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충분히 준비해서 차분하게 제대로 추진되었으면 좋겠다.



유튜브 부다방TV

김인만부동산경제연구소

 

오늘의 주요뉴스

더보기

    부동산 이슈보기

    베스트토론

    더보기

      부동산 토론 이슈보기

      서비스 이용정보

      Daum부동산은 제휴 부동산정보업체가 제공하는 매물 정보와 기타 부동산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제휴 업체의 매물 정보를 비롯한 각종 정보 및 이와 관련한 거래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부담하지 않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Kakao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