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금융

부동산 메뉴

2016년 주거실태 양극화 뚜렷
내 집 마련의 꿈을 이룬 가구가 늘었지만, 월세 가구도 늘었다. ‘주거 양극화’가 심화한 것이다. 국토교통부는 이런 내용의 ‘2016년 주거실태조사’를 25일 발표했다. 전국 2만 가구를 설문한 결과다. 국토부는 2006년부터 격년 단위 실태조사를 해왔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자가점유율(전체 가구 중 집을 사서 거주하는 가구 비율)은 2014년 53.6%에서 지난해 56.8%로 상승했다. 자가점유율은 주거 안정성을 보여주는 지표다.

자가보유율(전체 가구 중 집을 사서 거주·임대하는 가구 비율)도 같은 기간 58%에서 59.9%로 올랐다. 자가점유율·자가보유율 모두 2008년 이후 매년 감소하다 지난해 반등했다.

김영국 국토부 주택정책과장은 "주택 공급이 늘고 매매가 대비 전세가가 크게 오르면서 내 집 마련 수요가 증가했다. 저금리 기조와 정부의 보금자리주택 공급, 디딤돌 대출 같은 정책도 내 집 마련에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하지만 소득별로 살펴보면 월 소득 200만원 이하 저소득층의 자가점유율은 46.2%로 2014년보다 1.3%포인트 떨어졌다. 월 소득 400만원 초과 고소득층은 73.6%로 같은 기간 4.1%포인트 늘었다. 소득에 따른 자가점유율 격차는 2012년 이후 벌어지는 추세다.
 
반면 전월세 임차가구 중 월세 비중은 같은 기간 55%에서 60.5%로 늘었다. 2006년 45.8%였던 월세비중은 꾸준히 증가해 이번 조사에서 처음 60%를 넘겼다. 매달 임대료를 내는 월세는 목돈을 보증금으로 맡겨두는 전세보다 서민 주거비 부담이 큰 편이다.

 
주택 공급 증가, 전세가 상승 영향

자가가구의 연 소득 대비 주택가격 비율(PIR)은 4.7배에서 5.6배로 늘었다. 소득을 한 푼도 쓰지 않고 5.6년을 모아야 집을 살 수 있다는 뜻이다.

강미나 국토연구원 주택정책연구센터장은 "1인 가구 구성이 늘면서 가구 소득이 줄었는데 집값이 올라 부담이 커졌다"고 설명했다.

반면 임차 가구의 월소득 대비 임대료 비율(RIR)은 20.3%에서 18.1%로 감소했다. 강 센터장은 "월세가 내렸다기보다 저금리 추세에 따라 대출 이자가 줄어든 게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미쳤다"고 말했다.

자가가구 평균 거주기간은 11.2년에서 10.6년으로 줄었다. 반면 임차 가구는 3.5년에서 3.6년으로 소폭 늘었다. 임대료나 대출금 상환에 부담을 느낀다고 응답한 비율은 66.5%였다. 점유형태 별로 살펴보면 월세가구의 82.3%, 전세의 74.3%, 자가의 50.6%가 임대료·대출상환 부담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인당 평균 거주 면적은 33.5㎡에서 33.2㎡로 감소했다. 조사를 시작한 이래 꾸준히 늘다 처음 줄었다. 주거비 부담 때문에 작은 집으로 옮기거나 1인 가구가 늘면서 중소형 주택이 인기를 끈 영향으로 풀이된다.

강 센터장은 "주택 시장이 1인 가구, 월세 위주로 빠르게 재편하고 있어 ‘월세 시대’에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c)중앙일보조인스랜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오늘의 주요뉴스

더보기

    부동산 이슈보기

    베스트토론

    더보기

      부동산 토론 이슈보기

      서비스 이용정보

      Daum부동산은 제휴 부동산정보업체가 제공하는 매물 정보와 기타 부동산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제휴 업체의 매물 정보를 비롯한 각종 정보 및 이와 관련한 거래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부담하지 않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Kakao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