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민간사업자인 ㈜부산블루코스트가 새롭게 제안한 해운대~이기대 해상케이블카는 해운대구 송림주차장과 남구 이기대공원 사이 해상 4.2㎞ 구간에 들어선다.
부산의 상징이 된 광안대교와 나란히 놓이는 게 특징이다. 케이블카는 광안대교 상판 높이인 해상 55m보다 약 25m 높은 해상 80m를 지나게 된다.
선박과 충돌 대비 ‘방지공’도 설치
㈜부산블루코스트에 따르면 송림주차장과 이기대공원에 각각 정류장이 들어서고, 캐빈(사람이 타는 공간)은 91대다. 새 제안은 부산시가 2016년 해상케이블카 사업을 반려하면서 들었던 이유를 해결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우선 환경훼손을 최소화할 수 있게 설계했다.
이를 위해 국내 최초로 ‘자동순환식 3S 곤돌라’ 방식을 채용했다. 3S 방식은 초속 35m의 강풍에도 흔들림을 최소화한 최신 기종으로 독일·프랑스도 최근 적극 채용하고 있다. 무엇보다 이 방식은 비용은 비싸지만 여수 등지에 설치된 1S(모노케이블카) 방식에 비해 정류장 사이에 설치해야 하는 타워를 확 줄일 수 있는 게 장점이다. 교량으로 치면 교각을 절반으로 줄일 수 있는 방식이다.
134172e19d4f9.jpg)
▲ 부산의 명물 광안대교와 나란히 놓이게 될 해상케이블카 조감도. [사진 부산블루코스트]
이 덕에 해운대~이기대 해상케이블카의 타워는 해상에 3기, 지상에 1기로 종전 제안안의 절반으로 줄었다. 타워를 절반으로 줄인 만큼 환경훼손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정류장 부지는 이미 주차장 등으로 개발돼 사용 중인 만큼 추가적인 자연훼손이 없다는 게 ㈜부산블루코스트의 설명이다.
이 회사 관계자는 “정류장 부지에는 이미 들어선 건축물을 재건축하거나 리모델링해 사용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해운대~남구 오가는 새 교통수단
교통혼잡 문제는 케이블카를 교통수단화해 해결한다는 계획이다. 왕복으로 운영할 수밖에 없는 통영·여수 케이블카와 달리 해운대에서 이기대 방향으로, 이기대에서 해운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교통수단으로 활용하겠다는 것이다. 케이블카가 관광 상품인 동시에 남구 관광권역과 해운대 관광권역을 잇는 새로운 교통수단이 되는 셈이다.
미국 뉴욕의 명물이 된 케이블카 ‘루즈벨트아일랜드 트램웨이’도 맨해튼과 루즈벨트아일랜드를 오가는 주요 교통수단 중 하나다. ㈜부산블루코스트는 이를 위해 양쪽의 정류장을 주변 지하철 등 대중교통망과 연계할 계획이다.
이 외에도 해상타워에는 선박과의 충돌 등에 대비해 해상충돌방지공을 설치한다. 또 해상타워는 광안대교와의 조화를 위해 단순 철골구조물이 아닌 건축적 요소를 더해 설계했다. 이 케이블카가 완공하면 부산이 세계적인 해양관광도시로 도약할 수 있는 발판이 될 것으로 전문가들은 내다본다.
지역 관광 업계의 한 관계자는 “해운대와 광안대교, 누리마루의 야경을 내려다 볼 수 있는 만큼 부산의 킬러 콘텐트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c)중앙일보조인스랜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