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 가뭄이 든 서울 주택시장에 단비가 내린다. 연말까지 1만 가구가 넘는 새 아파트가 입주를 앞두고 있어서다.
16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오는 10~12월 서울 아파트 입주물량은 1만2097가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9% 늘었다. 수도권(경기도·인천)도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5% 늘어난 3만6437가구가 입주한다. 지방은 47.6% 줄어든 3만2101가구다.
서울은 장기전세주택이나 행복주택 등 입주 자격 요건이 있는 물량을 제외하면 일반 주택 수요자가 입주할 수 있는 물량은 많지 않다. 전체 입주물량의 절반인 6300여 가구다. 지역별로는 영등포구의 입주물량이 가장 넉넉하다. 4개 단지 2562가구가 입주를 기다리고 있다. 당장 다음 달에 3개 단지 1921가구가 집들이한다. 이외에도 노원구 상계동, 성북구 장위동에서 1000가구 넘는 대단지 아파트가 나온다.
수도권에선 11월 김포·광명·평택시에서 2000가구가 넘는 새 아파트가 입주한다. 12월엔 과천·시흥·화성시 등지에서 각각 1000가구 이상 입주가 예정됐다.
![](https://filesvr.joinsland.joins.com/news/2020/09/17/thumb(550)1343dd51991b6a1d20ce.jpg)
▲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입주를 시작하는 새 아파트는 다른 아파트보다 전세물량이 많다. 한꺼번에 수백에서 수천 가구가 시장에 나오기 때문이다. 새 아파트를 분양받은 주인이 잔금을 치를 여력이 없거나 대출 규제에 자금 마련이 어려워 급하게 전세를 내놓는 경우도 적지 않다. 주변 시세보다 싼 전세물건이 나오는 이유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아무래도 새 아파트 입주물량이 나오면 해당 지역의 전셋값 안정에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올해 도시재생 뉴딜 사업도 본격적인 시동을 걸었다. 국토부는 제23차 도시재생특별위원회에서 올해 1차 도시재생 뉴딜 신규사업으로 서울 성북구를 비롯해 경기도 하남·의정부시, 인천 부평 등 23곳(150만㎡)을 선정했다고 이날 밝혔다.
이는 쇠퇴한 구도심의 역세권이나 공공청사 등을 정비해서 주거시설과 문화·상업시설이 어우러지는 공간으로 재단장하는 사업이다. 2024년까지 총 1조2000억원이 순차적으로 투입된다. 주거시설은 공공임대 1820가구를 포함해 3000가구가 들어설 예정이다. 이외에도 돌봄·문화시설 같은 시설이 70여 개, 지식산업센터나 공공임대상가 등이 20개 조성된다.
<저작권자(c)중앙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