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금융

부동산 메뉴

[안장원의 부동산 노트] 초고가 주택시장
아파트 한 채를 사는 데 전국 평균 시세의 아파트 두 채 값을 세금으로 냈다. 초고층 고급 주상복합아파트의 대명사인 서울 강남구 도곡동 타워팰리스에서다.

업계에 따르면 지난 5월 87억원에 거래된 타워팰리스 1차 301㎡(이하 전용면적)의 취득세가 10억여원에 달한다. 매수자가 1주택자라는 전제에서다.

정부가 실거래가를 공개한 2006년 이후 지난 6월까지 전국에서 거래된 아파트 1100만건의 취득세 중 가장 많은 금액이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전국 아파트 평균 가격이 5억1000만원이어서 아파트 두 채를 살 돈과 맞먹는다.

87억원보다 더 비싼 거래금액이 적지 않았는데 어떻게 취득세가 가장 많을까.

국토부 실거래가공개시스템에 올라 있는 역대 아파트 최고가가 지난 4월 강남구 청담동 PH129(더펜트하우스청담) 273㎡ 145억원이다. 실거래가공개시스템에 누락됐지만 등기부등본상 최고가는 지난 3월 용산구 한남동 나인원한남 244㎡ 164억원이다.

연립주택·다세대주택으로 범위를 넓히면 지난해 9월 서초구 서초동 트라움하우스 5차 273㎡ 185억원이 역대 공동주택(아파트·연립주택·다세대주택) 최고 거래가격이다.

시세의 80% 정도로 산정한 공시가격이 163억원으로 올해 공동주택 1위인 PH129 407㎡의 거래가가 200억원 정도로 예상되지만 실거래가공개시스템과 등기부등본에 나오지 않아 확인되지는 않았다.

김종필 세무사에 따르면 185억원에 거래된 트라움하우스 5차의 취득세가 1주택자 기준으로 6억4750만원이다.
 

▲ 용산 한남더힐에서 1년 새 거래가격이 30억원 넘게 올랐다. 주택시장이 전반적으로 약세를 보이지만 초고가 주택 거래가격은 뛰었다. 연합뉴스


전용 274㎡ 초과 취득세 중과

타워팰리스 301㎡ 거래가가 트라움하우스 5차의 절반 정도인데 취득세가 2배에 가까운 것은 집 크기 때문이다. 공동주택에서 전용 274㎡ 초과가 과거 ‘사치성 재산’으로 분류된 ‘고급주택’이어서 취득세가 일반 주택보다 훨씬 높게 중과된다. 농어촌특별세·지방교육세를 제외한 세율이 11%다. 일반주택(1~3%)의 3배가 넘는다.

업계는 일부 초대형을 제외하고 수요자의 고급주택 취득세 부담을 고려해 주택 크기를 274㎡ 이하에 맞추기 여사다. PH129에서 꼭대기 층 407㎡ 2가구 외 나머지 27가구가 273.96㎡다. 트라움하우스 5차 최고가가 273.64㎡다.

타워팰리스에도 원래 고급주택이 없었다. 가장 큰 집이 244.77㎡다. 301㎡는 222㎡와 79㎡를 합친 집이다. 222㎡와 79㎡로 나눠 지어진 수퍼펜트하우스 30가구 중 5가구가 2020년부터 1가구로 합병했다. 주택 수가 2가구인 데 따른 종부세 중과를 피하려는 목적이 컸다.

부동산중개업소들은 “종부세 중과가 합병에 따른 취득세 중과보다 더 부담스러웠던 것 같다”고 말했다.

지난 5월 87억원 거래는 합병한 수퍼펜트하우스 5가구 중 처음이다. 합병한 수퍼펜트하우스가 전세로는 지난해 7월 48억원에 거래된 적 있다.

타워팰리스 수퍼펜트하우스 가격이 2년 새 35억원 뛴 것으로 나타났다. 2020년 7월 222㎡와 79㎡가 각각 55억5000만원과 19억5000만원에 동시에 같은 매수자에 팔렸다.
 

50억 초과 거래 비중 2배 넘게 커져
 
금리 인상 등의 영향으로 올해 주택시장이 침체되는 모습과 달리 타워팰리스 수퍼펜트하우스 등 초고가 주택은 ‘자이언트 스텝’을 밟고 있다. 가격 상승 폭이 잇단 금리 인상에 아랑곳하지 않는 큰 폭이다. 거래가격이 15억원이 넘으면 주택담보대출을 받을 수 없기 때문에 15억원 초과 시장은 어차피 금리에 크게 구애받지 않는다.

지난 5월 110억원에 거래된 용산구 한남동 한남더힐 240㎡와 같은 크기의 이전 거래가격이 지난해 5월 77억5000만원이었다. 1년 새 32억5000만 원 올랐다.

2020년 2~3월 46억원 선에 팔린 성동구 성수동1가 갤러리아포레 217㎡가 지난 6월 2년 새 42억원 오른 88억원에 거래됐다.

지난해 상반기 60억원을 넘어선 강남구 압구정동 현대1차 196㎡가 올해 들어 80억원을 찍었다. 지난해 70억원대 초반이던 서초구 반포동 래미안퍼스티지 222㎡도 올해 80억원대에 들었다. 지난 5월 68억원을 기록한 반포동 아크로리버파크 129㎡가 지난해엔 50억원대였다.
 

초고가 주택 거래도 줄었지만 덜 줄었다. 거래 비중은 더 커졌다. 올해 들어 7일까지 서울 아파트 전체 거래에서 차지하는 30억원 초과 비율이 4.3%로 지난해(2.3%)의 2배 정도다. 50억원 초과는 지난해 0.36%에서 올해 0.91%다.

박원갑 국민은행 부동산수석전문위원은 “초고가 시장은 매물이 귀한 데다 실수요가 강하고 자금력이 충분하기 때문에 한 번 거래될 때 가격 상승 폭이 크게 나타나곤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초고가 시장이 일반 주택시장과 괴리된 모습을 계속 보일 수는 없다. 전체적인 시장 침체가 길어지면 초고가 주택 가격도 꺾인다. 경제가 어려워지면 부유층도 자금 압박을 받게 돼 초고가 주택 수요가 줄고 급한 자금을 마련하려는 급매물도 나오기 때문이다.

트라움하우스 5차 273㎡가 2006년 60억원에서 2008년 120억원까지 올랐다가 이듬해인 2009년 47억원을 기록했다.

 

<저작권자(c)중앙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오늘의 주요뉴스

더보기

    부동산 이슈보기

    베스트토론

    더보기

      부동산 토론 이슈보기

      서비스 이용정보

      Daum부동산은 제휴 부동산정보업체가 제공하는 매물 정보와 기타 부동산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제휴 업체의 매물 정보를 비롯한 각종 정보 및 이와 관련한 거래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부담하지 않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Kakao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