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금융

부동산 메뉴

지역별

<앵커>
전월세상한제가 추진되고 있지만 도입되기 까지는 넘어야할 산이 많다고 하는데요.

김현우 기자와 살펴보겠습니다.

우선 전월세상한제와 계약갱신 청구권, 두 제도 개념부터 짚고 넘어갈까요?

<기자>
네, 먼저 전월세상한제는 전세나 월세를 재계약할 때 임대료 인상률이 기존 금액의 5%를 초과하지 못하게 하는 제도입니다.

현재 더불어민주당 박영선 의원이 발의한 비슷한 내용의 법안이 국회에 계류중인 상탭니다.

계약갱신청구권은 2년간의 계약을 마친 세입자가 한 번 더 계약 갱신을 요구하면 집주인이 무조건 응하도록 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앵커>
이 두 제도는 문재인 대통령이 공약한 사안이기도 한데 그럴만한 이유가 있지 않겠습니까?

<기자>
박근혜 정부 동안 부동산 가격 급등으로 전세, 월세 부담이 커졌는데도 문 대통령은 세입자를 보호해주는 장치가 부족하다고 판단해 이 두 제도를 도입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문재인 대통령의 말을 직접 들어보겠습니다. 

[문재인 대통령 : 집주인과 세입자의 갈등은 정책적으로 해결해야 합니다. 세입자 주거안정과 집주인 권리보호의 균형을 맞추겠습니다.]

<앵커>
대통령의 공약처럼 이 규제들이 세입자들의 부담을 덜어줄까요?

<기자>
네, 시민단체들은 기대를 많이 하고 있습니다.

전월세를 큰 폭으로 올리지 못하게 되고 이사를 가야 하는 경우가 줄어들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세입자들에게 득이라는 건데요.

전문가의 이야기를 들어보시죠.

[고석동 / 전국세입자 협회 사무국장 : 2년마다 임대인들은 규제가 없는 상황에서 계속 전월세를 인상하는데 2년 마다 계속 이사를 가야되고 상한제가 없어서 세입자들의 주거비 부담이 커지고 있습니다. 어떤 규제가 시작되면 집주인들이 (전월세를) 올릴 수 있어도 그건 일시적인 현상이라고 생각하거든요.]

<앵커>
하지만 국토부도 전 정부에서는 이 두제도의 도입을 강력하게 반대하지 않았습니까?

그럴만한 이유가 있을텐데요. 뭐라고 합니까?

<기자>
네, 국가가 시장에 더 많이 개입하면서 생기는 부작용이 득보다 크다는 전망도 있습니다. 

이번에도 전문가에게 직접 들어보겠습니다.

[심교언 / 건국대 교수 : 외국의 (전월세 상한제) 사례를 보면 민간에서 공급하는 (임대주택 같은)것이 줄어들게 되고 주택 품질이 많이 저하됩니다. 그래서 중장기적으로 서민들의 생활이 더 힘들어지는 사례들이 많이 나타났습니다.]

결국 임대료 인상이나 재계약에 대한 세입자의 부담이 줄 수는 있지만 단기적으로 임대료 급등이나, 중장기적으로 임대물건의 질 저하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는 겁니다.

<앵커>
전월세상한제에 대한 논의가 길어질 것 같네요.

그리고 오늘 국토부가 도시재생사업도 보고했다고요?

<기자>
네, 도시재생 사업으로 주거 환경이 개선되면 부작용으로 임대료가 높아져 기존 거주자들이 내몰리는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이 생길 수 있는데요.

이 부작용을 완화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라고 보고했습니다.

도시재생 사업은 문 대통령이 5년 동안 50조원을 투입하기로 한 주요 사업이기도 합니다.

국토부는 이 사업을 위해 기획재정부, 문화부 등도 참여하는 범정부 차원의 도시재생 뉴딜 협업TF를 구성할 계획입니다.

<앵커>
네, 이야기 잘 들었습니다. 

( www.SBSCNBC.co.kr )

☞ SBSCNBC 공식 [페이스북] [트위터] [모바일 앱] 바로가기

오늘의 주요뉴스

더보기

    부동산 이슈보기

    베스트토론

    더보기

      부동산 토론 이슈보기

      서비스 이용정보

      Daum부동산은 제휴 부동산정보업체가 제공하는 매물 정보와 기타 부동산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제휴 업체의 매물 정보를 비롯한 각종 정보 및 이와 관련한 거래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부담하지 않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Kakao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