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대형 ↓ 비수도권.소형 ↑
[세계파이낸스]
최근 수년간 지방의 아파트 가격은 상승세를 그린 반면 수도권에서는 아파트 가격이 무너져내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형 아파트 가격은 떨어지고, 소형 아파트 가격은 올랐다.
'MB정권'의 거듭된 '부동산 떠받치기 전략', 특히 수도권과 대형 아파트를 노린 정책이 약발이 전혀 먹히지 않은 것이다.
현대경제연구원이 9일 발표한 '금융위기 이후 주택 정책 효과와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생한 2008년 이후 5년간 지방 5대 광역시 아파트 가격은 크게 올랐지만, 서울, 경기 등 수도권에서는 급락했다.
'MB정부'는 출범 초인 2008년부터 부동산 부흥에 애썼다. 금융위기 아파트 가격이 급락 추세를 보이자 11·3대책 등을 통해 주택시장 침체를 방지하는 데 역점을 뒀으며, 2010년의 8·29대책처럼 위기가 어느 정도 진정된 후에도 수요 진작을 위한 규제 완화를 거듭했다.
보고서는 금융위기 이후 수도권을 중심으로 한 규제 완화 정책이 정작 수도권 주택시장 회복에는 도움이 되지 않은 채 비수도권에서만 효과가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물가를 고려한 실질 아파트매매 가격지수는 2008년 1월∼2012년 3월 사이 지방 5대 광역시에서 약 13% 올랐으나, 수도권에서는 약 12% 떨어졌다.
대형 아파트를 대상으로 한 다양한 규제 완화도 역효과만 발생시켰다. 2008년 1월 이후 대형 아파트 가격이 약 6% 내린 반면 소형 아파트 가격은 약 11% 오른 것이다.
보고서는 "1980년 이후 인구 및 사회구조 변화로 1∼2인 가구 비중이 빠른 속도로 증가한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규제 완화 정책에도 불구하고 수도권 초과공급 물량이 축소되지 않는 것 역시 새로운 현상이다.
비수도권 미분양 아파트는 2009년 7월 11만6176호에서 2012년 2월 3만7247호로 크게 줄었다. 하지만 같은 기간 수도권에서는 2만4010호에서 2만7603호로 오히려 늘어났다.
이런 현상을 고려해 주택정책 방향은 지역별 차별화, 거래안정, 일관성 등 3가지에 맞춰 추진해야 한다고 보고서는 권고했다.
먼저 수도권에서는 전세수급 조절과 거래 안정을 통해 장기침체를 막고, 비수도권에서는 거품 붕괴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려는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또 주택시장 침체기에는 '거래 없는 안정'보다 거래 활성화에 중점을 둔 정책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수도권 주택시장 초과공급이 지속하는 상황에서 인위적인 가격안정이 수요자와 공급자 간 체감가격 격차만 확대시켜 실거래를 위축시키고 있다는 것이다.
안재성 세계파이낸스 기자 seilen78@segyefn.com
[Segye.com 인기뉴스]
◆ 아이 화상입힌 국물녀 "오히려 내가 피해자"◆ 6일만에 관속서 '부활'… 다시 살아난 노인◆ 여관서 자고 일어나보니 '신장 강탈' 황당◆ '과다 노출' 톱모델에 벌금 "춤추다 가슴이…"◆ 추위에 가장 강한 동물 1위 북극곰, 2위 펭귄, 3위는?◆ 화성인 '난장판녀'를 제압한 '정리의 신', 비법은?◆ 겨울이 지나도 부츠를 벗지 못하는 그녀들의 속사정?
[ⓒ 세계파이낸스 & Segye.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세계일보 [자동차전문섹션][스마트캠페인][ 트위터/ 페이스북/ 미투데이]<세계닷컴은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Daum부동산은 제휴 부동산정보업체가 제공하는 매물 정보와 기타 부동산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제휴 업체의 매물 정보를 비롯한 각종 정보 및 이와 관련한 거래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부담하지 않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Kakao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