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금융

부동산 메뉴

연도별 핫이슈 메뉴

2024
2023
2022
2021
2020 2019 2018 2017 2016 2015 2014 2013 2012 2011 2010 2009 2008

[이슈]01.13 전세대책 정부 '전세와 전쟁' 두달..후속조치와 시장은

국토부 등 관계부처 법 개정 속속 진행중

전셋값 강세는 여전..지난주부터 상승폭은 줄어

(서울=연합뉴스) 서미숙 강건택 기자 = 정부가 전월세 시장 안정을 위해 1.13대책과 2.11대책을 내놓은지 각각 두달, 한달이 가까워 오고 있다.

정부는 다락같이 오르는 전셋값을 잡기 위해 '전세시장은 대책이 없다'는 그동안의 속설을 깨고 두 번의 안정대책을 발표했다.

이후 정부는 관련 법안 개정 등 후속조치 마련에 주력하고 있지만 방학, 이사철과 맞물린 전세시장 강세는 여전히 이어졌다.

다만 최근들어 전셋값 상승폭이 축소되고 봄 이사철이 조기에 마감될 것으로 보이면서 전세시장도 서서히 안정되는 것이 아니냐는 기대감이 나오고 있다.

◇후속조치 어디까지 왔나 = 국토해양부는 지난 1.13대책에서 발표한 대책에 대해 상당수 시행에 옮겼다.

공공주택을 조기에 투입하기 위해 소형의 공공 분양ㆍ임대주택의 공정률 등을 점검한 결과 올해 입주할 9만7천가구 가운데 17%인 1만6천867가구의 입주 시기를 예정보다 1~2개월 앞당기기로 했다.

또 소형주택 공급을 확대하기 위해 도시형 생활주택과 다세대ㆍ다가구, 소형 오피스텔 건축시 국민주택기금을 연 2%의 금리로 지원해주고, 대출 금액도 종전보다 확대하기로 한 조치는 국민주택기금 운용계획을 변경해 지난달 10일부터 시행하고 있다.

국토부는 지난 7일 현재 국민주택기금 취급 은행 지점에 총 16건(393가구) 82억원 상당의 대출신청이 접수됐으며 조만간 본점의 대출 승인이 날 것으로 예상했다.

아울러 지난 1월 21일부터 서민 전세자금 대출 조건에서 '6개월 이상 무주택' 조항을 폐지하고 대출 자금도 최대 6조8천억원까지 확대했다.

민간 임대주택 공급을 활성화하기 위해 공공택지에서 5년 임대주택 용지 공급하기로 한 임대주택법 시행령은 당초 4월중 시행할 예정이었으나 법 개정을 서둘러 지난달 하순 국무회의를 통과, 이달 2일부터 시행하고 있다.

전.월세 실거래 정보와 아파트 입주 예정물량은 지난달부터 본격적으로 공개하고 있다.

1.13대책의 보완 방안으로 발표된 2.11대책은 현재 법 개정이 한창 진행중이다.

매입임대사업자에 대한 양도소득세 중과 완화와 종합부동산세 비과세 등 세제 지원은 현재 기획재정부가 소득세법, 종합부동산세법 개정을 진행중이다.

리츠 등이 투자 자산의 일정 비율 이상을 기준시가 6억원 이하, 전용면적 149㎡이하 임대 주택에 투자하면 개인 투자자의 배당소득에 대해 한시적으로 과세 특례를 주고 취득세를 감면해주는 조치도 현재 기획재정부와 행정안전부가 각각 조세특례제한법과 지방세특례제한법 개정을 추진하고 있다.

조특법 개정안은 지난 7일 국회 상임위 소위원회를 통과했으며 이르면 3월 말 열리는 임시 국회에서 처리될 것으로 보인다. 지특법 개정안은 현재 국회 소위원회에서 심사중이다.

민간 건설사의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을 취득해 5년 이상 임대한 뒤 처분하면 취득세와 양도세를 깎아주기로 한 것도 현재 조특법 개정안이 상임위를 통과해 이르면 3월말 시행된다.

5년 임대주택에 대한 건설자금 지원을 확대조치는 지난달 17일 국민주택기금 운용계획을 변경해 시행중이다.

◇전세시장 강세는 여전..이달들어 오름폭은 줄어 = 정부의 잇단 대책 발표 이후에도 전셋값 상승세는 쉽게 가라앉지 않았다.

정부의 대책이 단기 효과보다는 주로 중장기적이어서 학군 수요와 이사철 수요, 집을 사지 않아 전세로 눌러앉는 수요를 잡을 길이 없었다.

부동산114가 지난 1.13 전세대책의 발표 이후 1개월(1월14일~2월11일) 동안의 전셋값 변동률을 조사한 결과 서울 1.04%, 신도시 1.9%, 수도권 1.9%, 지방 0.97% 등으로 상승세가 지속된 것으로 나타났다.

1.13 대책 발표 이전(지난해 12월10일~올해 1월13일)과 비교하면 서울의 전셋값 상승률은 1.92%에서 1.04%, 지방은 1.62%에서 0.97% 등으로 다소 둔화되기는 했지만 유의미한 감소치라고 보기는 어렵다.

오히려 수도권은 대책 발표 이전(1.73%)보다 상승률이 0.17%포인트 올라갔고 신도시도 2.17%→1.9%로 별 차이가 없었다.

다만 전세난의 발원지인 서울 강남(2.17%→0.54%)과 양천(1.61%→0.28%)에서는 비교적 빠른 속도로 안정되는 모습을 보였다.

이어 2.11 대책까지 등장한 이후 1개월간(2월11일~3월4일)의 전셋값 변동률은 서울 0.45%, 신도시 0.77%, 수도권 1.06%, 지방 0.53% 등 대부분의 지역에서 상승세가 꺾인 것으로 조사됐다.

심지어 이 기간 강남은 전셋값이 0.01% 떨어졌고 양천구는 전셋값이 오르기는 했지만 상승폭이 0.11%에 그쳤다.

최근 방학 학군수요가 마무리되면서 학군 수요지역을 중심으로 진정되는 모습이다.

이에 비해 서울 도심과 인기지역에 밀려난 세입자들이 몰린 수도권은 지금까지 전셋값 강세가 계속되고 있다.

부동산114 관계자는 "2.11대책 이후 상승세가 둔화됐지만 이는 정책적인 영향이라기 보다는 전세수요가 예년보다 빨리 움직인 결과"라며 "서울 주요 학군지역에서는 정부 대책의 영향보다는 학군 수요의 감소 영향이 컸다"고 분석했다.

봄 이사수요가 잦아들면서 최근들어 전셋값 상승폭은 다소 줄어들고 있는 모습이다.

지난 주 아파트 전셋값은 서울 0.06%, 신도시 0.16%, 수도권 0.20%로 그 전주(서울 0.11%, 신도시 0.20%, 수도권 0.29%)에 비해 오름폭이 줄었다.

부동산1번지 박원갑 소장은 "수도권을 제외한 서울, 신도시의 전세난이 다소 안정되면서 급한 불은 끈 것으로 보인다"며 "그러나 가을 이사철이 시작되는 여름부터 다시 전세시장은 불안해질 수 있다"고 말했다.

sms@yna.co.kr

firstcircle@yna.co.kr

(끝)

< 뉴스의 새 시대, 연합뉴스 Live >

<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

< 포토 매거진 >

<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서비스 이용정보

Daum부동산은 제휴 부동산정보업체가 제공하는 매물 정보와 기타 부동산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제휴 업체의 매물 정보를 비롯한 각종 정보 및 이와 관련한 거래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부담하지 않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Kakao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