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서비스

금융

부동산 메뉴

연도별 핫이슈 메뉴

2024
2023
2022
2021
2020 2019 2018 2017 2016 2015 2014 2013 2012 2011 2010 2009 2008

[이슈]10.24 가계부채 종합대책 금리인상에도 "서울 집값 안 내린다"

인상폭 크지 않고 현금 많은 실수요자 다수.. 지방 주택시장은 침체 가속화 예상
머니투데이 | 김사무엘 기자 | 입력2018.11.30 10:18 | 수정2018.11.30 10:18
서울 양천구 목동의 아파트 단지 전경. /사진=머니투데이 DB
서울 양천구 목동의 아파트 단지 전경. /사진=머니투데이 DB

한국은행이 1년만에 기준금리 인상을 단행했지만 서울 집값은 상승세를 유지할 거란 전망이 지배적이다. 금리 인상폭이 크지 않고 부동산 외 대체 투자처도 마땅치 않아서다. 서울의 주택 공급이 제한적인 상황에서 현금이 풍부한 실수요자가 상당하다는 것도 상승 요인으로 꼽힌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30일 정례회의에서 기준 금리를 기존보다 0.25%p(포인트) 올린 1.75%로 결정했다. 지난해 11월 1.25%에서 1.5%로 0.25%p 인상한 이후 1년 만의 인상 결정이다.

금리는 집값을 결정하는 주요 변수 중 하나다. 금리가 낮으면 대출 받아 집을 사려는 수요가 많아지면서 집값이 오를 가능성이 높아지고 금리가 올라가면 그 반대다. 최근 2~3년 간 서울 등 주요 지역의 집값 상승 역시 지난 정부의 대출규제 완화와 저금리 기조로 시중의 유동성이 크게 늘어난 때문으로 분석된다.

한은이 이번에 금리인상을 결정한 주요 이유 중 하나도 '집값 안정'이다. 정부가 지난해부터 여러 차례 부동산 대책을 내 놓으면서 다주택자의 대출을 억제했지만 저금리 기조가 유지되는 한 부동산으로 돈이 몰리는 현상은 지속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번 금리 인상이 서울 집값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는 시각이 많다. 상승폭은 다소 둔화할 수 있어도 과거 금융위기때 처럼 큰 폭의 하락은 쉽지 않다는게 대다수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안명숙 우리은행 WM자문센터 부동산투자지원센터장은 "금리 인상폭이 크지 않고 이 정도는 시장에서 어느 정도 예상했던 수준"이라며 "집값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도 "이번에 금리는 올랐지만 1500조원에 달하는 가계부채 부담으로 금리를 급격히 올리긴 어려울 것"이라며 "대출규제 영향이 더해져 주택 거래는 줄고 상승폭도 감소하겠지만 서울 집값이 하락세로 돌아서진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수요에 비해 부족한 공급이 서울 집값의 상승 요인으로 꼽힌다. 정부가 다주택자의 대출을 억제하고 보유세를 인상하는 등 강력한 대책을 연이어 발표했음에도 서울의 청약시장이 여전히 뜨겁다는 것이 이를 방증한다.

지난 6일 청약접수를 진행한 서초구 서초동 '래미안 리더스원'은 분양가가 3.3㎡당 평균 4489만원의 고분양가였음에도 불구하고 232가구 모집에 9671명이 몰려 41.7대1의 높은 경쟁률을 기록했다.

전용면적 84㎡의 분양가는 약 17억원으로 대출을 제외하면 현금으로 10억원 이상 있어야 계약이 가능했지만 1만명에 가까운 청약자가 몰렸다. 분양가 39억원의 238㎡는 청약가점 만점(84점)자가 당첨되기도 했다. 돈 많은 실수요자가 그만큼 많다는 의미다.

대체 투자처가 마땅치 않다는 것도 부동산에 자금이 몰리는 이유 중 하나다.

이상우 유진투자증권 연구원는 "최근 경기가 침체되고 주식시장도 좋지 않아 부동자금이 다른 곳으로 이동할 가능성은 적다"고 말했다. 안명숙 센터장도 "자산가들은 여전히 부동산에 관심이 많다"며 "꼬마빌딩이나 상가 등 수익형 부동산 투자는 이어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서울 집값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어도 지방 부동산 침체는 가속화 할 것으로 관측된다. 지역 산업 침체와 주택 공급과잉 등으로 현재도 하락세가 이어지는 상황에서 금융비용 압박까지 가해지면 추가 하락은 불가피하다는 분석이다. KB부동산에 따르면 광역시를 제외한 기타 지방의 집값은 2016년 0.17%, 2017년 0.76% 하락한데 이어 올해도 11월까지 1.67% 떨어져 하락폭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박원갑 국민은행 부동산수석전문위원은 "세금과 대출규제로 수요자들의 심리가 냉각된 가운데 금리까지 올라서 시장 위축이 더욱 뚜렷해질 전망"이라며 "일부 인기지역 분양만 몰리는 양극화가 심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김사무엘 기자 samuel@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서비스 이용정보

Daum부동산은 제휴 부동산정보업체가 제공하는 매물 정보와 기타 부동산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제휴 업체의 매물 정보를 비롯한 각종 정보 및 이와 관련한 거래에 대하여 어떠한 책임도 부담하지 않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Kakao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